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Abiraterone acetate)는 자이티가(Zytiga)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는 약제로, 전립선암 치료제이다.[9] 특히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CRPC)과 전이성 거세민감성 전립선암(mCSPC)의 치료제인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함께 쓰인다.[3][10] 고환절제술 이후 혹은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유사체와 함께 사용된다.[11] 경구 투여한다.[12]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졸음, 구토, 두통, 관절 통증, 고혈압, 종창, 저칼륨혈증, 고혈당, 열감, 설사, 기침 등이 있다.[13][14] 다른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간부전, 부신겉질부전 등이 있다.[15] 임신을 준비하는 남성은 피임을 권한다.[15]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로 투여되어 체네에서 아비라테론으로 전환된다.[16] 남성 호르몬 안드로겐의 생성을 차단하며 작용하는데 특히 CYP17A1 효소를 차단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이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전립선암의 호르몬 작용을 막는다.[17]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는 프리드니손,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함께 사용 되어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CRPC)을 치료한다. 과거에는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CRPC)을 호르몬 저항, 혹은 호르몬 불응성 전립선 암 이라고 불렀다.[23][24][8][7] 이는 가장 중요한 안드로겐 차단용법이나 안드로겐수용체 길항제를 통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전립선암의 한 형태였다.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는 이러한 기능으로 2011년 4월 28일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고, 그 뒤로도 2011년 9월 23일에 유럽 의약품 감독국(EMA), 2011년 9월 5일에 영국 의약품규제청(MHRA), 그리고 2012년 3월 1일에 호주식약처(TGA)의 승인을 받았다.[25][26][27] 호주에서는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을 프레드니손이나 프레드니솔론으로 치료할 때에는 호주의 의약품 관리 체계인 PBS(Pharmaceutical Benefits Scheme)의 지원을 받는다. 지원 조건은 환자가 최근에 항암 치료를 받고 있고 도시탁셀에 저항하거나 과민한 상태이며, WHO 기준 활동도가 2점 이하이며,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에 대한 PBS의 보조금을 받아 치료를 받기 시작한 이후 질병의 진행이 없는 상태여야 한다.[28] Yonsa Mpred라는 제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와 메틸프레드니솔론은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Yonsa)와 메틸프레드니솔론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합성물 패키지이다. 이 약품은 2022년 3월에 호주에서 의학 용도로 승인을 받았다.[29][30][31]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에 과민증이 있는 사람이 복용해서는 안된다. 임산부 혹은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복용할 수 없다고 설명되어 있으나,[32][33] 여성은 이 약을 복용할 의학적인 이유가 전혀 없다. 임산부는 장갑을 착용하지 않고 이 약을 만지는 것조차 금기 한다..[33] 기타 주의사항으로는 심각한 간장애 기저 질환, 알도스테론증, 심부전과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 저칼륨혈증, 부신 기능부전 등이 있다.[34]
↑Potter GA, Barrie SE, Jarman M, Rowlands MG (June 1995). “Novel steroidal inhibitors of human cytochrome P45017 alpha (17 alpha-hydroxylase-C17,20-lyase): potential agents for the treatment of prostatic cancer”.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38 (13): 2463–2471. doi:10.1021/jm00013a022. PMID7608911.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name-list-style= (도움말)
↑Scowcroft H (2011년 9월 21일). “Where did abiraterone come from?”.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Cancer Research UK) 38 (13): 2463–2471. 2011년 9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28일에 확인함.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2nd list (2021)》.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45533. WHO/MHP/HPS/EML/2021.02.
↑Luthy IA, Begin DJ, Labrie F (November 1988). “Androgenic activity of synthetic progestins and spironolactone in androgen-sensitive mouse mammary carcinoma (Shionogi) cells in culture”. 《Journal of Steroid Biochemistry》 31 (5): 845–52. doi:10.1016/0022-4731(88)90295-6. PMID2462135.
↑Dhondt B, Buelens S, Van Besien J, Beysens M, De Bleser E, Ost P, Lumen N (2019). “Abiraterone and spironolactone in prostate cancer: a combination to avoid”. 《Acta Clinica Belgica》 74 (6): 439–444. doi:10.1080/17843286.2018.1543827. PMID30477405. S2CID53738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