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린에스터레이스의 활성 중심에는 음이온 부위(anionic site)와 에스터 부위(esteraic site)라는 두 개의 중요한 부위가 존재한다. 아세틸콜린이 콜린에스터레이스의 음이온 부위에 결합하면 아세틸콜린의 아세틸기가 에스터 부위에 붙을 수 있게 된다. 에스터 부위에 위치한 주요 아미노산 잔기는 글루탐산, 히스티딘, 세린이다. 이 잔기들이 아세틸콜린의 가수분해를 매개한다.
에스터 부위에서 아세틸콜린은 절단되어 유리된 상태의 콜린 일부와 아세틸화된 콜린에스터레이스가 남게 된다. 아세틸화된 상태의 콜린에스터레이스가 자기 자신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가수분해되어야 한다.[6][7]
TEPP와 같은 억제제는 콜린에스터레이스의 에스터 부위에 위치한 세린 잔기를 변형시킨다.
인산화로 인해 아세틸콜린의 아세틸기가 콜린에스터레이스의 에스터 부위에 결합하지 못하게 된다. 아세틸기가 콜린에스터레이스에 결합하지 못하면 아세틸콜린이 분해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아세틸콜린이 분해되지 않은 채로 남아 시냅스에 쌓이게 된다. 이로 인해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계속 활성화되고 TEPP 중독의 급성 증상을 유발한다.[8] TEPP(또는 다른 유기인산화합물)에 의한 콜린에스터레이스의 인산화는 비가역적이다. 이 때문에 콜린에스터레이스는 영구적으로 억제된다.[6][7]
콜린에스터레이스는 다음의 반응식에 따라 비가역적으로 인산화된다.
반응식에서 E는 콜린에스터레이스, PX는 TEPP 분자, E-PX가 가역적으로 인산화된 콜린에스터레이스, k3은 두 번째 단계의 반응속도상수, EP는 인산화된 콜린에스터레이스, X는 TEPP의 남은 기(基)이다.
콜린에스터레이스의 비가역적인 인산화는 두 단계에 걸쳐 일어난다. 첫 번째 단계에서 콜린에스터레이스는 가역적으로 인산화되며 매우 반응이 빠르게 일어난다. 그 후 두 번째 단계에서 콜린에스터레이스는 TEPP와 공유 결합하여 매우 안정한 상태의 복합체를 형성한다. 두 번째 단계는 느린 반응이지만 이 단계 후에는 콜린에스터레이스가 비가역적으로 억제된다.[6]
이 공식에서 E는 남은 효소의 활성, E0는 초기 효소의 활성, t는 콜린에스터레이스와 TEPP를 섞은 후의 시간 간격, KI는 콜린에스터레이스-TEPP 복합체(E-PX)의 해리상수, I는 TEPP의 농도를 뜻한다.
위의 반응 기전과 공식은 다른 유기인산화합물에서도 동일하며, 반응 과정 역시 똑같이 일어난다.
더 나아가 특정 유기인산화합물은 유기인산 유도 지연성 다발신경병증(organophosphate-induced delayed polyneuropathy, OPIDN)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질환은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의 축삭이 퇴행하는 것이 특징이며, 유기인산에 오염된 이후 수 주 후에 발병한다. 신경병증 표적 에스터레이스(neuropathy target esterase, NTE)이 병의 원인인 유기인산화합물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TEPP가 OPIDN을 일으키는 유기인산이라는 근거는 없다.[9]
루이체 치매나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치료 목적. 이러한 신경퇴행성질환에서 AChEI는 주로 치매의 인지적 증상(대부분 기억과 학습 기능 장애)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증상들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아세틸콜린의 기능이 줄어드는 것이 원인이 된다. AChEI가 파킨슨병에서 정신적 증상(특히 환시)을 완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는 근거들도 있다.[11]
조현병이 있는 환자의 인지장애를 치료하는 목적. 양성 증후, 음성 증후, 기분장애를 치료하는 데에 AChEI가 효능이 있다는 근거들이 있다.[12][13][14]
자폐를 치료하고 자폐가 있는 아동에서 렘수면 비율을 늘리기 위한 목적. 이때는 자각몽을 유발시킬 때와 똑같은 과정이 일어난다.[15][16]
↑Seth (2009년 11월 18일). 〈23〉. 《Textbook Of Pharmacology》. Elsevier India. III.87쪽. ISBN978-8131211588. 2019년 6월 18일에 확인함. Anaesthesia: Cholinesterase inhibitors are likely to exaggerate succinylcholine-type muscle relaxation during anaesthesia. 5. Genitourinary system: It may ...
↑Ribeiz SR, Bassitt DP, Arrais JA, Avila R, Steffens DC, Bottino CM (April 2010). “Cholinesterase inhibitors as adjunctive therapy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schizoaffective disorder: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CNS Drugs》 24 (4): 303–17. doi:10.2165/11530260-000000000-00000. PMID20297855. S2CID45807136.
↑Inglis F (June 2002). “The tolerability and safety of cholinesterase inhibitors in the treatment of dementi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Supplement》 (127): 45–63. PMID12139367.
↑Singh, Ravneet; Sadiq, Nazia M. (2020), “Cholinesterase Inhibitors”,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PMID31335056, 2020년 10월 12일에 확인함
↑Barash, Paul G; Cullen, Bruce F; Stoelting, Robert K; Cahalan, Michael K; Stock, M Christine (2013년 4월 15일). 《Clinical Anesthesia》 7판. 552–554쪽. ISBN978-1-4511-4419-2.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name-list-style= (도움말)
↑Karadsheh N, Kussie P, Linthicum DS (March 1991). “Inhibition of acetylcholinesterase by caffeine, anabasine, methyl pyrrolidine and their derivatives”. 《Toxicology Letters》 55 (3): 335–42. doi:10.1016/0378-4274(91)90015-X. PMID2003276.
↑Miyazawa M, Yamafuji C (March 2005). “Inhibi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y bicyclic monoterpenoid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3 (5): 1765–8. doi:10.1021/jf040019b. PMID15740071.
↑Perry NS, Houghton PJ, Theobald A, Jenner P, Perry EK (July 2000). “In-vitro inhibition of human erythrocyte acetylcholinesterase by salvia lavandulaefolia essential oil and constituent terpenes”. 《The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52 (7): 895–902. doi:10.1211/0022357001774598. PMID10933142. S2CID34457692.
↑Wang BS, Wang H, Wei ZH, Song YY, Zhang L, Chen HZ (April 2009). “Efficacy and safety of natural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huperzine A in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an updated meta-analysis”. 《Journal of Neural Transmission》 116 (4): 457–65. doi:10.1007/s00702-009-0189-x. PMID19221692. S2CID8655284.
↑Rhee IK, Appels N, Hofte B, Karabatak B, Erkelens C, Stark LM, Flippin LA, Verpoorte R (November 2004). “Isolation of th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ungeremine from Nerine bowdenii by preparative HPLC coupled on-line to a flow assay system”.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27 (11): 1804–9. doi:10.1248/bpb.27.1804. PMID15516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