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에서 아이버슨 괄호 (Iverson括弧, 영어 : Iverson bracket )는 수학 표기법의 하나이다. 이 표기법에 따르면, 명제를 포함하는 대괄호 는 명제가 참일 때 정수 1을, 명제가 거짓일 때 정수 0을 나타낸다.
아이버슨 괄호 는 다음과 같은 표기법이다. 어떤 명제
P
{\displaystyle P}
에 대하여,
[
P
]
∈
{
0
,
1
}
{\displaystyle [P]\in \{0,1\}}
은 정수 이며, 그 값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만약
P
{\displaystyle P}
가 참이라면
[
P
]
=
1
{\displaystyle [P]=1}
이다.
만약
P
{\displaystyle P}
가 거짓이라면
[
P
]
=
0
{\displaystyle [P]=0}
이다.
예를 들어,
[
n
>
0
]
{\displaystyle [n>0]}
은
n
=
3
{\displaystyle n=3}
일 때
[
3
>
0
]
=
1
{\displaystyle [3>0]=1}
이지만,
n
=
−
2
{\displaystyle n=-2}
일 때
[
−
2
>
1
]
=
0
{\displaystyle [-2>1]=0}
이다.
굴리엘모 리브리 카루치 달라 솜마이아
1830년대에 굴리엘모 리브리 카루치 달라 솜마이아(이탈리아어 : Guglielmo Libri Carucci dalla Sommaja , 1803〜1869)는 1830년에 다음과 같은 기호를 도입(또는 ‘발견’)하였다.[ 1]
0
0
x
=
[
x
>
0
]
{\displaystyle 0^{0^{x}}=[x>0]}
이는
0
0
=
1
{\displaystyle 0^{0}=1}
및
0
−
1
=
∞
{\displaystyle 0^{-1}=\infty }
및
0
∞
=
0
{\displaystyle 0^{\infty }=0}
과 같은 정의를 사용하면 우변의 아이버슨 괄호와 같은 뜻임을 알 수 있다.
이를 사용하여 리브리는 다음과 같은 꼴의 표기를 사용하였다.
(
1
−
0
0
−
x
)
(
1
−
0
0
x
−
a
)
=
[
0
≤
x
≤
a
]
{\displaystyle (1-0^{0^{-x}})(1-0^{0^{x-a}})=[0\leq x\leq a]}
이후 케네스 유진 아이버슨 (영어 : Kenneth Eugene Iverson , 1920 ~ 2004)이 1962년에 프로그래밍 언어 APL 에서 이와 같은 표기법을 사용하였다.[ 2] :11 이후 도널드 크누스 가 아이버슨의 표기법을 일반 수학 표기에서 널리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3] :24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