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의 포크 음악

아일랜드의 포크 음악아일랜드 공화국과 북아일랜드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향유하던 음악과, 1960년대 아일랜드 포크 리바이벌 이후에 나온 음악들을 지칭한다.

특징

[편집]

아일랜드 포크 음악은 스코틀랜드의 포크 음악과 매우 유사하며 5음 음계를 주로 사용한다. 악기는 전통적으로 하프를 사용하였다.(아일랜드 국장도 하프이다) 하프는 현대에 와서는 대부분 기타밴조 같은 현악기로 대체되었지만, 일부 음악가들은 하프를 계속 사용한다. 백파이프의 일종으로 노섬브리안 파이프와 유사한 일리언 파이프, 틴 휘슬, 보란, 기타, 만돌린, 바이올린[1], 하모니카, 콘서티나 등이 사용된다. 현대 포크 음악가들은 미국 악기인 밴조도 사용하고 있다.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는 민족이 같고 문화가 비슷하기 때문에, 아일랜드 가수들이 스코틀랜드 곡을 부르기도 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미국 포크 음악은 진보주의적 성격이 강해 자유, 정의, 평화, 인권, 반전, 반핵, 환경 등을 주로 소재로 하는 반면, 아일랜드 포크 음악은 민족주의적 성격이 강하다.

부흥

[편집]

1950년대 중엽에 미국에서는 아일랜드에서 넘어온 클랜시 형제 셋과 토미 메이컴으로 이루어진 더 클랜시 브라더스(앤드 토미 메이컴)(The Clancy Brothers & Tommy Makem)가 아일랜드의 포크 음악 부흥을 주도하였다. 더 클랜시 브라더스의 활동은 아일랜드 본토에도 영향을 끼쳤다. 더 더블리너스(1962년), 디 아이리시 로버스(1964년) 등등 무수히 많은 포크 그룹들이 미국과 캐나다, 아일랜드 본토에서 쏟아져 나왔고, 많은 솔로 가수들도 등장하게 되었다. 미국의 포크 가수들도 아일랜드 곡을 앨범에 삽입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단순히 전통 곡들을 현대적 감각에 맞게 편곡하여 내놓았을 뿐만 아니라, 민족 감정을 자극하는 대중가요나 해학, 풍자적인 대중가요를 내놓기도 했다.

시스템

[편집]

한국처럼 연예 기획사의 오디션을 봐서 데뷔하는 경우도 물론 있지만, 대부분은 연예 기획사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솔로 가수들의 경우 미국 포크 음악처럼 포크 동호인들의 집회 장소인 포크 클럽을 통해 일단 음악계에 데뷔한 다음, 명성을 얻으면 그 때 가서 자기 돈으로, 또는 레이블을 정해 계약을 맺고 앨범을 내는 경우가 많다. 밴드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한국 용어로 인디밴드이다. 그래서 데뷔 연도와 1집 발매 연도가 차이가 1~2년씩 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더 더블리너스는 1962년 데뷔, 1964년 1집 발매이다.

오해

[편집]

미국인, 일본인, 한국인은 흔히 대니 보이(Danny Boy)를 아일랜드의 대표적인 포크 음악으로 오해한다. 실제로 엘비스 프레슬리, 존 바에즈, 에바 캐시디를 비롯한 많은 미국 가수들이 대니 보이를 불렀고, 심지어 한국의 아이돌 가수인 아이유(2009년)[2]소녀시대(2011년)도 이 곡을 불렀다. 그러나 대니 보이는 정작 아일랜드의 포크 가수들과 그룹들은 거의 부르지 않는 곡이다. 이 곡은 가락만 북아일랜드 가락인 런던데리 에어(Londonderry Air)이고, 가사는 1913년에 잉글랜드 사람이 지었다. 한국으로 따지자면, 아리랑의 가락에 일본인이 가사를 붙인 곡인 셈이다. 이 곡이 대표적인 아일랜드 고전 포크송이 아닌 또다른 이유는, 쾌활하고 발랄한 아일랜드인의 국민성(아이리시 로버, 홀리 그라운드 등은 굉장히 쾌활하고 밝은 곡이다)과는 정반대로 차분하고 조용한 곡이기 때문이다. 아일랜드의 대표적인 곡들은 다음에 열거되어 있다.

대표하는 곡들

[편집]

제목의 영어 발음-제목의 한국어 뜻-알파벳 표기 순으로 나열하였다. 모든 곡에서 첫머리에 나오는 정관사는 생략하였다.

전통 곡

[편집]

다음 세 곡은 국적 불명이다. 스코틀랜드 곡으로 보기도 하고, 아일랜드 곡으로 보기도 한다.

과도기 곡

[편집]

1800년대 말부터 1945년 사이에 나온 곡들이다.

현대 곡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클래식 음악에 사용되는 바이올린은 포크 음악에도 사용된다. 포크 음악에서는 바이올린이라는 말보다는 구어체인 피들(fiddle)이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하고, 존 시헌(더 더블리너스 바이올린 담당)과 같은 포크 바이올리니스트들은 피들러(fiddler)라고 하기도 한다.
  2. 《낙원 - 파라다이스》OST에서 아이유가 이 곡을 번역하지 않고 영어 가사 그대로 부른다.
  3. 스코틀랜드 고전 포크송인 로크 로몬드와 가락이 같고, 가사에도 스코트어가 등장한다.
  4. 술을 가리키는 비유적 표현이다.
  5. 아일랜드 동요인데, 잉글랜드 버전도 있다.
  6. 호주판 홍길동, 임꺽정, 장길산이라 할 수 있는 아일랜드계 호주인 의적 잭 더건(Jack Duggan) 이야기이다.
  7. 아일랜드의 노상 강도 윌리 브레넌(Willy Brennan) 이야기이다.
  8. 에린(Erin)은 아일랜드(에이레, Eire)를 의인화한 표현이다. 아일랜드는 모성적 이미지와 연관되어 여성으로 표현되고, 대명사도 it이 아니라 she로 받는 경우가 많다.
  9. 보리는 아일랜드를, 바람은 잉글랜드의 침공을 가리킨다. 2006년도 켄 로치 감독의 영화 <보리밭에 부는 바람>은 이 곡에서 제목을 따 왔다.
  10. 카운티 아마 출신인 토미 메이컴의 별명이기도 하다.
  11. 로이 윌리엄슨이 1982년에 작사, 작곡한 같은 제목의 스코틀랜드 현대 포크송과는 완전히 다른 곡이다. 이름만 같다.
  12. 역시 술을 뜻한다.
  13. 1798년 반란 때 반영파 장로교 지도자 이름이다.
  14. 1798년 반란 때 로마 가톨릭 지도자 존 켈리(John Kelly)를 뜻한다.
  15. 피니언은 아일랜드의 독립을 위해 조직된 독립운동 단체로, 대한민국의 한국독립당과 유사한 단체이다.
  16. 물론 반어적 표현이다. 피더 키어니는 독립운동가이다.
  17. 원래 로버트 태너힐(Robert Tannahill (1774-1810))이 지은 스코틀랜드 고전 포크송이었는데, 1957년에 북아일랜드 가수인 프란시스 맥피크가 가사를 약간 바꾸었다. 따라서 가사에 스코트어도 나오고, 스코틀랜드적인 느낌이 강하다. 아일랜드 가수들과 스코틀랜드 가수들은 물론 미국 가수들도 많이 부른다.
  18. 전통 곡 명단에 있는 고전 포크송 '6월 23일' 을 편곡한 곡이다.
  19. 극작가 브렌단 비언의 동생으로, 시인이며 작곡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