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르
|
법률, 로맨스, 휴머니즘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MBC
|
방송 기간
|
2014년 10월 27일 ~ 2015년 1월 13일
|
방송 시간
|
월요일, 화요일 밤 10시
|
방송 횟수
|
21부작
|
기획
|
이창섭
|
제작사
|
MBC, 본팩토리
|
제작
|
김호준, 문석환, 오광희
|
연출
|
김진민
|
조연출
|
현솔잎, 심소연
|
각본
|
이현주
|
출연자
|
최진혁, 백진희, 최민수, 이태환, 손창민 외
|
HD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외부 링크
|
오만과 편견 홈페이지
|
《오만과 편견》은 2014년 10월 27일부터 2015년 1월 13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월화드라마이다. 당초 《대장금 2》를 편성하였으나 제작이 무산되면서 대체 편성되었다.[1]
법과 원칙, 사람과 사랑을 무기로 나쁜 놈들과 맞장 뜨는 검사들의 이야기로 돈없고 힘없고 죄 없는 사람들이 아프지 않게 하기 위해 애쓰는 검사들의 이야기.
- 최진혁 : 구동치 역 (아역 노태엽) - 인천지검 수석검사
- 백진희 : 한열무 역 (아역 박시은) - 인천지검 수습검사
- 최민수 : 문희만 역 - 인천지검 부장검사
- 이태환 : 강수 역 (아역 이수혁) - 인천지검 수사관
- 손창민 : 정창기 역 - 백수, 일명 '개개평'
- 최우식 : 이장원 역 - 인천지검 평검사
- 장항선 : 유대기 역 - 인천지검 수사관, 인천의 국정원, 지검의 마당발
- 정혜성 : 유광미 역 - 인천지검 수사관
- 노주현 : 이종곤 역 - 법무부 검찰국장
- 김여진 : 오도정 역 - 인천지검 차장검사
- 백수련 : 백금옥 역 - 강수 할머니, 백반집 '삼시세끼'의 주인
- 김나운 : 김명숙 역 - 열무의 어머니
- 곽지민 : 송아름 역 - 2105마약상, 차윤희의 전 직장동료
- 맹상훈 : 박순배 역 - 전직 경찰이자 현 오택균 변호사 사무실 사무장, 서태원 엄마 뺑소니사건 담당형사
- 이현걸 : 빽곰(백상기)/백상대 역 - 한별과 서태원의 납치범/빽곰의 형
- 한갑수 : 구영배 역 - 동치의 아버지, 15년 전 폐공장 수위
- 정성모 : 한열무의 아버지 역
- 임승대 : 강무성 역 - 호정의 선생님
- 송삼동 : 권대용 역 - 문방구 주인
- 남정희 : 이호정의 할머니 역
- 설창희 : 택시기사로 위장해 수사하는 형사 역
- 윤아민 : 아가씨 역
- 금보 : 경비원 역
- 박건락 : 만식 역 - 마약판매상, 마약사건 정보원
- 이승연 : 피의자 1 역
- 유용범 : 피의자 2 역
- 단강호 : 교도관 역
- 신영진 : 신소라 역 - 어린이집 원장
- 이승주 : 신소라의 남편 역
- 이현정 : 어린이집 아줌마 역
- 김수은 : 구급대원 역
- 김재철 : 김윤지, 김찬의 아빠 역
- 정명준 : 신소라 측 변호사 역
- 신담수 : 장공철 역 - 일명 '판다', 마약지게꾼, 연쇄살인범
- 이원종 : 문철배 역 - 가짜 마약운반책
- 민복기 : 오정태 역 - 공원 노숙자
- 손종환 : 맹 형사 역
- 김해나 : 차윤희 역
- 최남욱 : 과학수사원 역
- 유재현 : 세관 직원 역
- 오기환 : 구급대원 역
- 최홍일 : 차윤희의 아버지 역
- 김영조 : 김재식 역 - 만식의 형
- 김은해 : 성형외과 직원 1 역
- 강찬양 : 성형외과 직원 2 역
- 이미경 : 성형외과 직원 3 역
- 정우식 : 고영민 역 - 32명을 고소한 취준생
- 정호 : 이장원의 친구 1 역
- 박충렬 : 이장원의 친구 2 역
- 김지은 : 유광미의 친구 1 역
- 윤정미 : 유광미의 친구 2 역
- 김선녀 : 중국집 직원 역
- 유순철 : 폐지 줍는 할아버지 역
- 서지오 : 조폭 1 역 - 김재식의 똘마니
- 주창욱 : 조폭 2 역 - 김재식의 똘마니
- 오승찬 : 구급대원 역
- 김영필 : 검찰과장 역
- 이재우 : 박 검사 역 - 인천지검 검사
- 한가림 : 박 검사의 여자친구 역
- 천소라 : 여사무관 1 역
- 김아영 : 여사무관 2 역
- 김혜윤 : 강한나 역 - 화영재단을 고소하려는 고등학생 커플
- 서광재 : 세차장 대표 역 - 렌트카를 빌려준 남자
- 강혜림 : 간호사 역
- 김민경 : 판사 역
- 김경란 : 빽곰(백상기), 백상대의 어머니 역
- 정지훈 : 한별 역 - 열무의 남동생
- 김수연 : 이호정 역
- 김강훈 : 김찬 역
- 이서연 : 김윤지 역 - 어린이집 사건 피해자, 김찬의 누나
- 정찬 : 최광국 역 - 동치의 선배검사 (7~9회, 13~14회, 16~17회, 20~21회)
- 진선규 : 주윤창 역 - 성형외과 원장 (7회, 11~12회, 21회)
- 최준용 : 오택균 역 - 변호사 (8~9회, 11~13회, 20~21회)
-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4년
|
회차
|
방송일
|
TNmS 시청률[2]
|
AGB 시청률[3]
|
대한민국(전국)
|
서울(수도권)
|
대한민국(전국)
|
서울(수도권)
|
제1회
|
10월 27일
|
9.3%
|
11.5%
|
11.2%
|
13.0%
|
제2회
|
10월 28일
|
8.3%
|
11.0%
|
11.0%
|
12.4%
|
제3회
|
11월 3일
|
9.6%
|
13.4%
|
11.6%
|
13.5%
|
제4회
|
11월 4일
|
10.1%
|
13.0%
|
10.8%
|
12.6%
|
제5회
|
11월 10일
|
10.6%
|
14.6%
|
12.1%
|
13.9%
|
제6회
|
11월 11일
|
11.0%
|
13.7%
|
12.8%
|
15.1%
|
제7회
|
11월 17일
|
11.0%
|
14.6%
|
10.7%
|
12.0%
|
제8회
|
11월 24일
|
10.5%
|
13.4%
|
11.3%
|
13.2%
|
제9회
|
11월 25일
|
10.3%
|
13.7%
|
11.9%
|
13.5%
|
제10회
|
12월 1일
|
10.2%
|
13.7%
|
10.3%
|
11.5%
|
제11회
|
12월 2일
|
11.1%
|
14.4%
|
11.1%
|
12.3%
|
제12회
|
12월 8일
|
9.8%
|
12.6%
|
9.7%
|
10.8%
|
제13회
|
12월 9일
|
9.8%
|
12.9%
|
10.6%
|
11.7%
|
제14회
|
12월 15일
|
9.2%
|
12.0%
|
9.2%
|
10.4%
|
제15회
|
12월 16일
|
10.2%
|
13.7%
|
9.9%
|
11.1%
|
제16회
|
12월 22일
|
9.2%
|
13.1%
|
9.4%
|
10.6%
|
제17회
|
12월 23일
|
9.7%
|
13.0%
|
10.0%
|
11.3%
|
2015년
|
제18회
|
1월 5일
|
7.7%
|
10.4%
|
8.4%
|
9.7%
|
제19회
|
1월 6일
|
8.8%
|
11.6%
|
8.2%
|
8.6%
|
제20회
|
1월 12일
|
9.4%
|
12.5%
|
8.0%
|
8.6%
|
제21회
|
1월 13일
|
9.3%
|
12.5%
|
9.7%
|
10.8%
|
평균 시청률
|
9.8%
|
12.9%
|
10.4%
|
11.7%
|
- 《내일도 칸타빌레》 (2014년 10월 13일 ~ 2014년 12월 2일)
- 《힐러》 (2014년 12월 8일 ~ 2015년 2월 10일)
-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2014년 9월 22일 ~ 2014년 12월 9일)
- 《펀치》 (2014년 12월 15일 ~ 2015년 2월 17일)
MBC 월화 미니시리즈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야경꾼 일지(2014년 8월 4일 ~ 2014년 10월 21일)
|
오만과 편견 (2014년 10월 27일 ~ 2015년 1월 13일)
|
|
MBC 월화 드라마 |
---|
1980년대 | 1980년 | |
---|
1981년 | |
---|
1982년 | |
---|
1983년 | |
---|
1984년 | |
---|
1985년 | |
---|
1986년 | |
---|
1987년 | |
---|
1988년 | |
---|
1989년 | |
---|
|
---|
1990년대 | 1990년 | |
---|
1991년 | |
---|
1992년 | |
---|
1993년 | |
---|
1994년 | |
---|
1995년 | |
---|
1996년 | |
---|
1997년 | |
---|
1998년 | |
---|
1999년 | |
---|
|
---|
2000년대 | 2000년 | |
---|
2001년 | |
---|
2002년 | |
---|
2003년 | |
---|
2004년 | |
---|
2005년 | |
---|
2006년 | |
---|
2007년 | |
---|
2008년 | |
---|
2009년 | |
---|
|
---|
2010년대 | 2010년 | |
---|
2011년 | |
---|
2012년 | |
---|
2013년 | |
---|
2014년 | |
---|
2015년 | |
---|
2016년 | |
---|
2017년 | |
---|
2018년 | |
---|
2019년 | |
---|
|
---|
2020년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