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세관토리 되먹임[1](영어: tubuloglomerular feedback, TGF) 또는 요세관사구체 되먹임은 신장 내부의 피드백 시스템의 한 종류로, 퓨린성 신호전달 경로를 이용하여 각각의 네프론에서 신장 세뇨관의 정보가 사구체로 전달되는 작용을 의미한다. 요세관토리되먹임은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등과 함께 신장이 사구체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몇 가지 메커니즘 중 하나이다. 원위세뇨관의 염화나트륨 농도가 감소하게 되면 치밀반(macula densa)에서 이를 인식하여 수입성 세동맥(afferent arterioles)의 혈관저항을 줄이고, GFR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2][3][4]
- ↑ 옛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kr/search.php?Search=tubuloglomerular+feedback&EbookTerminology=YES&DictAll=YES&DictAbbreviationAll=YES&DictDefAll=YES&DictNownuri=YES&DictWordNet=YES
- ↑ Arulkumaran N, Turner CM, Sixma ML, Singer M, Unwin R, Tam FW (2013년 1월 1일). “Purinergic signaling in inflammatory renal disease”. 《Frontiers in Physiology》 4: 194. doi:10.3389/fphys.2013.00194. PMC 3725473. PMID 23908631.
- ↑ Praetorius HA, Leipziger J (2010년 3월 1일). “Intrarenal purinergic signaling in the control of renal tubular transport”. 《Annual Review of Physiology》 72 (1): 377–93. doi:10.1146/annurev-physiol-021909-135825. PMID 20148681.
- ↑ Persson AE, Lai EY, Gao X, Carlström M, Patzak A (2013년 1월 1일). “Interactions between adenosine, angiotensin II and nitric oxide on the afferent arteriole influence sensitivity of the tubuloglomerular feedback”. 《Frontiers in Physiology》 4: 187. doi:10.3389/fphys.2013.00187. PMC 3714451. PMID 23882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