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곡제1동 月谷第1洞 | |
---|---|
월곡제1동주민센터 | |
![]() | |
로마자 표기 | Wolgok 1(il)-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서울특별시 성북구 |
행정 구역 | 22통, 231반 |
법정동 | 하월곡동 |
관청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오패산로 96 |
지리 | |
면적 | 0.83 km2 |
인문 | |
인구 | 26,250명(2022년 2월) |
세대 | 10,682세대 |
인구 밀도 | 32,0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월곡1동 주민센터 |
월곡제2동 月谷第2洞 | |
---|---|
월곡제2동주민센터 | |
로마자 표기 | Wolgok 2(i)-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서울특별시 성북구 |
행정 구역 | 19통, 157반 |
법정동 | 하월곡동, 상월곡동 |
관청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152 |
지리 | |
면적 | 1.34 km2 |
인문 | |
인구 | 19,411명(2022년 2월) |
세대 | 8,797세대 |
인구 밀도 | 14,5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월곡2동 주민센터 |
월곡동(月谷洞)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속한 지역이다. 법정동으로 상월곡동과 하월곡동이 있고, 행정동으로는 월곡1동과 월곡2동이 있다.
월곡동 동명의 유래는 두가지로 전해온다. 하나는 하월곡 3, 4동의 산지형이 반달처럼 생겼기 때문에, 월곡이란 이름을 붙였다 한다. 다른 하나는 조선 후기 미아사거리에 신근솔이라는 솔밭이 많아 풍치가 수려했기 때문에, 당시 이곳에 주막이 밀집하여 있었다. 지방에서 소를 몰고 서울로 들어올 때에는 신근솔에서 숙박을 하고 소를 매어 놓았다가 장위동 노병 도살장에서 소를 매도한 다음 돌아갔는데 소장사들이 달밤에 도착하여 잔월 아침에 흥정했기 때문에 ‘월곡’이라는 동명이 생겼다고 한다.[1]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성북 동아에코빌 | 동아건설산업 | 상월곡구역 주택개량재개발조합 | 성북구 장월로1길 28 | 2003년 6월 | |
래미안 월곡 | 삼성물산㈜ 건설부문 | 월곡3구역 재개발조합 | 성북구 오패산로 90 | 2006년 7월 | |
래미안 루나밸리 | 월곡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 성북구 월곡로14길 26 | 2007년 10월 | ||
대림샹그레빌 | ㈜삼호 | 2004년 7월 | |||
월곡 두산위브 | 두산건설 | 월곡구역 주택재개발조합 | 성북구 오패산로 46 | 2003년 4월 |
![]() |
이 글은 서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