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위상수학 에서 이국적 초구 (異國的超球, exotic sphere )는 n차원 초구 와 위상 동형 이지만 미분 동형 은 아닌 다양체를 말한다. 다시 말해 위상적으로는 구와 같지만 매끄러움 구조 가 일반적인 구와 다른 다양체이다.
일반적인 구를 항등원으로, 연결합 을 연산으로 놓으면 각 n차원에 대해서 이국적 구는 가환 모노이드 를 이룬다. 이 모노이드는 n=4인 경우를 제외하면 유한 아벨 군 이 된다.
위상수학에서는 어떤 다양체가 단위 n차원 초구
{
(
x
1
,
x
2
,
…
,
x
n
+
1
)
|
x
1
2
+
x
2
2
+
⋯
+
x
n
+
1
2
=
1
}
∈
R
n
{\displaystyle \{(x_{1},x_{2},\ldots ,x_{n+1})|x_{1}^{2}+x_{2}^{2}+\cdots +x_{n+1}^{2}=1\}\in \mathbb {R} ^{n}}
사이에 위상동형사상 이 존재하면 그 다양체를 ‘n차원 초구’라 부른다. 한편 미분위상수학에서는 두 다양체 사이에 미분동형사상 이 있으면서 그 사상과 역사상이 무한 번 미분 가능한 매끄러운 사상 일 경우 두 다양체의 매끄러움 구조가 같다고 말한다. 이 때 단위 초구(‘표준 초구’)와 위상동형이지만 매끄러움 구조가 서로 다른 다양체를 ‘이국적 초구’라 부른다.
같은 차원의 이국적 초구 두 개를 연결합 을 하면 초구와 위상 동형이 된다. (
S
n
#
S
n
≅
TopMfd
S
n
{\displaystyle \mathbb {S} ^{n}\#\mathbb {S} ^{n}\cong _{\operatorname {TopMfd} }\mathbb {S} ^{n}}
.) 또한 연결합은 교환 법칙 과 결합 법칙 을 따르므로 각각의 n차원 이국적 초구는 가환 모노이드 를 이룬다. 이 가환 모노이드는
n
≠
4
{\displaystyle n\neq 4}
일 때 역원이 존재하는 아벨군 이 되며, n차원 호모토피 초구들이 이루는 h-보충 경계 류들의 군
Θ
n
{\displaystyle \Theta _{n}}
과 동형이 된다.
n=4일 때 초구가 존재하는지, 얼마나 많은지, 모노이드가 어떤 구조인지는 미해결 문제 이다.
Θ
n
{\displaystyle \Theta _{n}}
은 유한 아벨 군 이다.
표준 매끄러운 초구 는
Θ
n
{\displaystyle \Theta _{n}}
의 항등원을 이룬다.
n
∈
{
0
,
1
,
2
,
3
,
5
,
6
,
12
,
56
,
61
}
{\displaystyle n\in \{0,1,2,3,5,6,12,56,61\}}
일 때,
Θ
n
{\displaystyle \Theta _{n}}
은 자명군 이다.[ 1] :Corollary 1.15
n
{\displaystyle n}
이 1, 3, 5, 61이 아닌 홀수 라면,
|
Θ
n
|
>
1
{\displaystyle |\Theta _{n}|>1}
이다.[ 1] :Corollary 1.13
Θ
7
{\displaystyle \Theta _{7}}
은 크기 28의 순환군 이다.
군
Θ
n
{\displaystyle \Theta _{n}}
의 원소 중 평행화 가능 다양체 의 경계가 될 수 있는 초구들의 집합
b
P
n
+
1
{\displaystyle bP_{n+1}}
은
Θ
n
{\displaystyle \Theta _{n}}
의 부분 순환군 을 이룬다. 그 몫군
Θ
n
/
b
P
n
+
1
{\displaystyle \Theta _{n}/bP_{n+1}}
의 발견은 수술 이론 발전에 기여했다.
b
P
n
+
1
{\displaystyle bP_{n+1}}
는 n이 짝수일 때는 자명군이며,
n
=
4
k
+
1
{\displaystyle n=4k+1}
일 때는 원소 1개 또는 2개의 군이다. 언제 2가 되는지는 케르베르 불변량 (영어판 ) 과 관련이 있으며 n=125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부 밝혀져 있다.
n
=
4
k
−
1
,
k
≥
2
{\displaystyle n=4k-1,k\geq 2}
인 경우
|
b
P
n
+
1
|
=
|
b
P
4
k
|
=
2
2
k
−
2
(
2
2
k
−
1
−
1
)
B
{\displaystyle |bP_{n+1}|=|bP_{4k}|=2^{2k-2}(2^{2k-1}-1)B}
이며, 여기서 B는
4
B
2
k
/
k
{\displaystyle 4B_{2k}/k}
의 분모이고
B
2
k
{\displaystyle B_{2k}}
는 베르누이 수 이다. (베르누이 수는 문헌마다 정의가 조금씩 다르다.)
몫군
Θ
n
/
b
P
n
+
1
{\displaystyle \Theta _{n}/bP_{n+1}}
은 초구의 안정 호모토피군 (영어판 )
π
n
S
{\displaystyle \pi _{n}^{S}}
과 J-준동형 의 상 사이의 몫군과 관련이 있다. 사상
Θ
n
/
b
P
n
+
1
→
π
n
S
/
im
(
J
)
{\displaystyle \Theta _{n}/bP_{n+1}\to \pi _{n}^{S}/\operatorname {im} (J)}
은 단사이며 index가 1 또는 2이다. 언제 2가 되는지는 케르베르 불변량 (영어판 ) 과 관련이 있다.
Θ
n
{\displaystyle \Theta _{n}}
의 크기[ 편집 ]
Θ
n
{\displaystyle \Theta _{n}}
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OEIS
n=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Θ
n
|
{\displaystyle |\Theta _{n}|}
A1676
1
1
1
1
1
1
28
2
8
6
992
1
3
2
16256
2
16
16
523264
24
|
b
P
n
+
1
|
{\displaystyle |bP_{n+1}|}
A187595
1
1
1
1
1
1
28
1
2
1
992
1
1
1
8128
1
2
1
261632
1
Θ
n
/
b
P
n
+
1
{\displaystyle \Theta _{n}/bP_{n+1}}
1
1
1
1
1
1
1
2
2×2
6
1
1
3
2
2
2
2×2×2
8×2
2
24
π
n
s
/
im
(
J
)
{\displaystyle \pi _{n}^{s}/\operatorname {im} (J)}
1
2
1
1
1
2
1
2
2×2
6
1
1
3
2×2
2
2
2×2×2
8×2
2
24
index
–
2
–
–
–
2
–
–
–
–
–
–
–
2
–
–
–
–
–
–
존 밀너 가 발견한 7차원 이국적 초구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경계다양체
B
4
×
S
3
×
{
0
,
1
}
{\displaystyle \mathbb {B} ^{4}\times \mathbb {S} ^{3}\times \{0,1\}}
를 생각하자. 그 경계는
S
3
×
S
3
×
{
0
,
1
}
{\displaystyle \mathbb {S} ^{3}\times \mathbb {S} ^{3}\times \{0,1\}}
이다. 3차원 초구 는 단위 절댓값 의 사원수 의 집합
{
x
∈
H
:
|
x
|
=
1
}
{\displaystyle \{x\in \mathbb {H} \colon |x|=1\}}
로 여길 수 있다.
이제, 그 경계를 다음과 같이 이어붙이자.
(
a
,
b
,
0
)
∼
(
a
,
a
2
b
a
−
1
,
1
)
(
a
,
b
∈
S
3
)
{\displaystyle (a,b,0)\sim (a,a^{2}ba^{-1},1)\qquad (a,b\in \mathbb {S} ^{3})}
여기서 곱셈은 사원수 의 곱셈이다.
이렇게 하여 얻는 7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X
{\displaystyle X}
는 7차원 매끄러운 초구 와 위상 동형 이지만, 미분 동형 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X
{\displaystyle X}
는 7차원 매끄러운 초구와 달리 다음과 같은 성질들을 갖는다.
방향 을 뒤집는 미분 동형
X
→
X
¯
{\displaystyle X\to {\bar {X}}}
이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 매끄러운 초구 의 경우 이것이 간단하게 존재한다.)
4차 베티 수 가 0인 8차원 매끄러운 경계다양체 의 경계가 될 수 없다. (반면, 7차원 매끄러운 초구 는 물론 자명한 베티 수 를 갖는 8차원 공의 경계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7차원에서 존재하는 28개의 초구 매끄러움 구조 는 다음과 같다. 복소수 벡터 공간
C
5
=
{
(
a
,
b
,
c
,
d
,
e
)
:
a
,
b
,
c
,
d
,
e
∈
C
}
{\displaystyle \mathbb {C} ^{5}=\{(a,b,c,d,e)\colon a,b,c,d,e\in \mathbb {C} \}}
에서, 다음 다항식으로 정의되는 복소수 4차원 (실수 8차원) 대수다양체 를 생각하자.
a
2
+
b
2
+
c
2
+
d
3
+
e
6
k
−
1
=
0
(
k
∈
{
1
,
2
,
…
,
28
}
)
{\displaystyle a^{2}+b^{2}+c^{2}+d^{3}+e^{6k-1}=0\qquad (k\in \{1,2,\dotsc ,28\})}
이제,
C
5
{\displaystyle \mathbb {C} ^{5}}
의 원점에서 충분히 작은 9차원 초구 를 생각하자. 9차원 초구와 8차원 다양체의 교집합은 (여차원 이 더해지므로) 7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를 정의한다. 이제,
k
∈
{
1
,
2
,
…
,
28
}
{\displaystyle k\in \{1,2,\dotsc ,28\}}
에 대하여 이들은 각각 28개의 7차원 이국적 초구들을 이룬다.
에드윈 에버리스트 모이즈
존 밀너
1952년에 에드윈 에버리스트 모이즈(영어 : Edwin Evariste Moise , 1918~1998)가
M
3
{\displaystyle M_{3}}
이 자명군 이라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2] (2차원 이하의 경우는 자명하다.)
최초의 이국적 초구는 존 밀너 가 1956년에 발견한 7차원 이국적 초구이다.[ 3] 이에 대하여 밀너는 훗날 다음과 같이 적었다.
“
1950년대 중반에 이러한 [이국적 초구의] 예를 발견하였을 때, 나는 매우 당혹스러웠으며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몰랐다. 처음에 나는 내가 7차원에서 일반화 푸앵카레 추측의 반례를 발견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조심스럽게 연구한 결과, 이 다양체가 실제로 S 7 와 위상 동형 인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S 7 위에는 표준 매끄러움 구조 와 다른 매끄러움 구조 가 존재한다.
When I came upon such an example in the mid-50s, I was very puzzled and didn’t know what to make of it. At first, I thought I’d found a counterexample to the generalized Poincaré conjecture in dimension seven. But careful study showed that the manifold really was homeomorphic to S 7 . Thus, there exists a differentiable structure on S 7 not diffeomorphic to the standard one.
”
이후 1963년에 미셸 케르베르 와 존 밀너 가 5차원 이상의 경우
M
n
{\displaystyle M_{n}}
이 유한 아벨 군 이며, 또한 그 군을 h-보충 경계 이론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5]
↑ 가 나 Wang, Guozhen; Xu, Zhouli (2016). “The triviality of the 61-stem in the stable homotopy groups of spheres” (영어). arXiv :1601.02184 .
↑ Moise, Edwin Evariste (1952). “Affine structures in 3-manifolds. Ⅴ. The triangulation theorem and Hauptvermutung”.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56 : 96–114. ISSN 0003-486X . JSTOR 1969769 . MR 0048805 .
↑ Milnor, John Willard (1956). “On manifolds homeomorphic to the 7-sphere” .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64 (2): 399–405. doi :10.2307/1969983 . JSTOR 1969983 . MR 0082103 .
↑ Milnor, John Willard (2009). 〈Fifty years ago: topology of manifolds in the 50’s and 60’s〉 (PDF) . Mrowka, Tomasz S.; Ozsváth., Peter S. 《Low dimensional topology. Lecture notes from the 15th Park City Mathematics Institute (PCMI) Graduate Summer School held in Park City, UT, Summer 2006.》. IAS/Park City Math. Ser. (영어) 15 .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9–20쪽. ISBN 978-0-8218-4766-4 . MR 2503491 .
↑ Kervaire, Michel A.; Milnor, John Willard (1963). “Groups of homotopy spheres Ⅰ” (PDF) .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77 (3): 504–537. doi :10.2307/1970128 . JSTOR 1970128 . MR 01480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