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카부히가시오사카시에서 태어났다. 5살 때 아버지가 사다 준 TV 게임으로 바둑을 배웠다. 6살 때 이시이 구니오 9단의 제자로 들어갔다. 2002년 중학교 1학년 때 프로 입단. 2008년 1월에 7단. 2008년 7월 11일 8단. 2009년 10월 16일 9단 승단. 2012년에 쇼기(将棋) 여류 기사 무로타 이오와 결혼했지만 4년 만에 이혼했다. 2013년 3월 14일 제37기 일본 기성전에서 장쉬 9단을 꺾고 타이틀을 획득, 일본 바둑계 사상 최초로 6관왕을 달성했다. 2013년 6월 30일 제25회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결승전에서 박정환 9단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동년 제68기 본인방전에서 다카오 신지 9단을 꺾고 타이틀 방위, 제38기 명인전에서 야마시타 케이고 9단을 꺾고 타이틀을 획득, 조치훈 9단에 이어 사상 2번째로 대삼관(大三冠)을 달성했다. 2015년 11월 25일 제41기 일본 천원전에서 다카오 신지 9단을 꺾고 지난 2013년 이후 2년만에 다시 6관왕에 올랐다. 2016년 4월 20일 제54기 일본 십단전에서 이다 아쓰시 8단을 꺾고 일본 바둑계 사상 최초로 7관왕(기성전, 명인전, 본인방전, 왕좌전, 천원전, 십단전, 작은기성전)을 달성했다. 그리고 2017년 10월 17일 제42기 명인전에서 다카오 신지 9단을 꺾고 2번째 7관왕을 달성했다. 2022년 제46기 기성전에서 이치리키 료에게 3승 4패로 지면서 2013년부터 이어져 왔던 기성전 10연패 달성에 안타깝게 실패했다.그러다가 2022년 6월 13일에 열린 제77기 혼인보전에서 이치리키 료 9단을 꺾고 4전 전승으로 거두면서 통산 본인방전 11연패를 달성해 종전 조치훈 9단이 기록한 본인방 10연패(1989년~1998년)의 기록을 넘어섰다.[1] 2024년 12월 6일 제72기 왕좌전에서 시바노 도라마루를 3 대 1로 꺾으면서 왕좌전 통산 10회 우승(2012.13.15.16.17.18.21.22.23.24)과 함께 명예왕좌(名誉王座) 칭호 획득과 함께 통산 타이틀 획득수 77(중 7대 타이틀 62)로 종전 조치훈의 통산 타이틀 획득수 76을 넘어 단독 1위 달성!
2021년 제45기 기성전 우승(4-1, 상대 고노 린 9단, 9연패 달성), 제76기 혼인보 우승(4-3, 상대 시바노 도라마루) ♦ 10연패로 조치훈 9단과 타이, 제46기 작은기성전 우승(3-2, 상대 이치리키 료), 제46기 명인전 우승(4-3, 상대 이치리키 료 9단), 제69기 왕좌전 우승(3-2, 상대 시바노 도라마루)
2022년 제46기 기성전 준우승(3-4, 상대 이치리키 료 9단)(2013년부터 이어진 ♦ 기성전 10연패 달성 실패), 제77기 혼인보전 우승(4-0, 상대 이치리키 료 9단)(♦ 통산 11연패이자 종전 조치훈 9단의 본인방전 10연패를 넘었다.), 제47기 일본 작은기성전 우승(3-0, 상대 이치리키 료 9단), 제70기 왕좌전 우승 (3-0, 상대 위정치 8단), 제31기 용성전 우승(상대 유키 사토시 9단)
2023년 제78기 혼인보전 준우승(3-4, 상대 이치리키 료 9단, ♦2012년부터 이어져온 본인방전 12연패 달성 실패),제48기 작은기성전 우승(3-0, 상대 이치리키 료 9단), 제48기 명인전 준우승(2-4, 상대 시바노 도라마루 9단), 제71기 왕좌전 우승 (♦통산 9번째 왕좌전 우승 3-2, 상대 위정치 8단),제30기 아함동산배 (일본) 준우승(상대 이치리키 료), 제32기 용성전 우승(2연패, 상대 시바노 도라마루 9단)
2024년 제48기 기성전 준우승(3-4, 상대 이치리키 료), 제62기 십단전 우승(3-2, 상대 시바노 도라마루),제49기 작은기성전 우승(3-0, 상대 시바노 도라마루 9단), 제72기 왕좌전 우승 (♦통산 10번째 우승과 함께 명예왕좌(名誉王座) 칭호 획득, 3-1 상대 시바노 도라마루) ☆타이틀 획득수 77(중 7대 타이틀 62)를 기록해 종전 조치훈의 통산 타이틀 획득수 76을 넘어 단독 1위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