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호이아

이오호이아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중기
Y. tenuis의 복원도
Y. tenuis의 복원도
추정되는Y. tenuis의 대수의 움직임
추정되는Y. tenuis의 대수의 움직임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대협강
과: 이오호이아과
Simonetta & Delle Cave, 1975
속: 이오호이아속
Henriksen, 1928
  • Y. tenuis Walcott, 1912 (모식종)
  • Y. utahana Conway Morris et al., 2015[1]

이오호이아 또는 요호이아(학명Yohoia)는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대협강(Megacheira)에 속하는 멸종한 절지동물로 캐나다에 있는 브리티시 컬럼비아버지스 셰일 지층에서 화석으로 발견된다. 모식종인 이오호이아 테누이스(학명Yohoia tenuis)는 1912년 월컷 박사가 논문으로 기고하였는데, 그는 이 동물을 갑각류무갑류로 추정하였다. 이오호이아 화석 표본 711점이 대 엽각층(Greater Phyllopod bed)에서 나왔으며, 전체의 1.35%를 차지하고 있다.[2] 2015년 콘웨이 모리스가 유타주의 마리움 지층(Marjum Formation)에서 발굴한 또 다른 종, Y. utahana에 대해 논문으로 발표하였다.[1]

해부적 특징

[편집]
이오호이아 테누이스는 버지스 셰일의 일부 절지동물들에게서 보이는 공통된 요소로 두 가지 형태형을 가지고 있다.[3]

이오호이아의 화석표본은 그 크기가 7~23mm를 아우른다. 머리방패(頭盾板) 뒤로 몸통등판(體背板) 13마디가 연달아 있다. 양 옆으로는 몸통 등판 중 10마디의 아랫면이 후방 구두점으로 끝이 나는데, 구두점의 형태는 삼각꼴이거나 돌출부 형태이다. 마지막 등판 3개는 몸통 마디 전체를 감싸는 완전한 튜브 모양이다. 몸통 끝은 노 모양의 꼬리가 달려 있다. 또, 머리방패 앞으로는 거대한 확장부 한 쌍이 있다. 이 부분은 '팔꿈치'로 부르며, 오히려 손가락처럼 생긴 4개의 긴 가시로 끝난다. 머리방패 아랫면에는 다리가 3쌍이 있는데, 이는 모래나 질척한 해저면에서 이 생물이 서 있게 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몸통 판 아래에는 이분지가 아닌 다리가 늘어져 있는데, 이 다리들은 지느러미처럼 생겼고, 센털이 주렁주렁 달려 있어, 아마도 헤엄과 호흡용으로 병용했을 것이다. 또, 머리방패 앞에는 눈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는 구 모양의 형체들이 있다.[4]

계통분류

[편집]

이오호이아는 '대수류(大手類)' 절지동물에 속하는 생물 중 하나이다. 모든 계통분류군이 입 앞에 먹이를 움켜잡거나 찌르고 걸러먹는 데에 쓰이는 갈라진 가시로 끝나는 관절로 된 팔 한 쌍(대부속기. greater appendage)이 달려있다. 대수류 절지동물은 부속기가 독자 진화한 다계통군 또는 이오호이아(이외 레앙코일리아, 알랄코메나이우스, 오이스토케르쿠스, 포르티포르켑스, 지안펑기아, 이아부니크)를 포함한 대수강으로 간주시켰으며, 라디오돈트목과 더불어 절지동물의 자매군으로 정의되었다. 이오호이아와 비슷한 속은 몸 크기가 작고 분지 다리에 걸을 수 있는 분절이 있는 반면, 라디오돈트목은 대형동물인 대신 거대한 부속기를 제외하고는 다리가 없다. (비록 분지 다리가 데본기에 출현한 라디오돈트목 생물인 신데르하네스에 있다고 기재된 논문이 있으나,[5] 이 가설은 매우 의문시되며, 이는 대신 아가미 박막띠일 가능성이 높다.[6])

생태

[편집]

이오호이아는 주로 저서생활을 하는 생물이었을 것이며, 먹이를 주워먹거나 잡아채는 데에 대부속기를 이용해 해저 진흙바닥 위에서 헤엄치며 살았을 것으로 보인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Morris, Simon Conway; Selden, Paul A.; Gunther, Glade; Jamison, Paul G.; Robison, Richard A. (2015). “New records of Burgess Shale-type taxa from the middle Cambrian of Utah”. 《Journal of Paleontology》 (영어) 89 (3): 411–423. Bibcode:2015JPal...89..411C. doi:10.1017/jpa.2015.26. ISSN 0022-3360. S2CID 55050961. 
  2. Caron, Jean-Bernard; Jackson, Donald A. (2006년 10월). “Taphonomy of the Greater Phyllopod Bed community, Burgess Shale”. 《PALAIOS》 21 (5): 451–65. Bibcode:2006Palai..21..451C. doi:10.2110/palo.2003.P05-070R. JSTOR 20173022. S2CID 53646959. 
  3. Haug, Joachim T.; Waloszek, Dieter; Maas, Andreas; Liu, Yu; Haug, Carolin (2012). “Functional morphology, ontogeny and evolution of mantis shrimp-like predators in the Cambrian: MANTIS SHRIMP-LIKE CAMBRIAN PREDATORS”. 《Palaeontology》 (영어) 55 (2): 369–399. doi:10.1111/j.1475-4983.2011.01124.x. S2CID 82841481. 
  4. Briggs, Derek; Erwin, Douglas; Collier, Frederick. The Fossils of the Burgess Shale. Smithsonian Books (1994).
  5. Kühl, Gabriele; Briggs, Derek E. G.; Rust, Jes (2009년 2월 6일). “A Great-Appendage Arthropod with a Radial Mouth from the Lower Devonian Hunsrück Slate, Germany”. 《Science》 (영어) 323 (5915): 771–773. Bibcode:2009Sci...323..771K. doi:10.1126/science.1166586. ISSN 0036-8075. PMID 19197061. S2CID 47555807. 
  6. Moysiuk, Joseph; Caron, Jean-Bernard (2022년 7월 8일). “A three-eyed radiodont with fossilized neuroanatomy informs the origin of the arthropod head and segmentation”. 《Current Biology》 (영어) 32 (15): 3302–3316.e2. doi:10.1016/j.cub.2022.06.027. ISSN 0960-9822. PMID 35809569. S2CID 250361698.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