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오염

정보 오염(情報汚染)은 관련 없고, 중복되고, 수요 없고, 방해되고, 가치 낮은 정보로 정보 공급이 오염되는 것이다.[1] 예를 들면 오보, 이메일 스팸매체 폭력이 있다.

쓸모 없고 바람직하지 않은 정보의 확산은 인간 활동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정보 혁명의 부작용 중 하나로 꼽힌다.[2]

개요

[편집]

정보 오염은 일반적으로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IM) 및 소셜 미디어와 같은 디지털 통신에 적용된다. 이 용어는 2003년 웹 사용성 전문가인 제이콥 닐슨이 이 주제에 대해 논의하는 기사를 발표하면서 특히 관련성을 갖게 되었다.[3] 1971년 초에 연구자들은 "무작위로 분산된 미량 성분인 쓰레기 오물에서 귀중한 결절"을 회수해야 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의구심을 표명했다.[4] 사람들은 결정을 내리고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정보를 쓴다. 인지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결정의 질이 떨어지기 전에 제한된 정보만 처리할 수 있다.[5] 정보 과부하는 의사 결정에도 해를 끼칠 수 있는 관련 개념이다. 품질에 관계 없이 사용 가능한 정보가 풍부함을 나타낸다.[1][5]

기술이 문제를 악화시킨 것으로 생각되지만 정보 오염의 유일한 원인은 아니다. 작업을 수행하거나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필수 사실에서 주의를 분산시키는 모든 것은 정보 오염 물질로 간주될 수 있다.

정보 오염은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오염의 디지털 등가물로 간주된다.[2][6][7] 일부 저자는 정보 과부하가 환경 파괴가 직면한 위협과 같은 규모의 전 지구적 규모의 위기라고 주장한다. 다른 사람들은 환경 관리 관행과 유사한 정보 관리 양식의 개발 필요성을 표했다.[5]

징후

[편집]

정보 오염의 징후는 혼란을 유발하는 것과 정보 품질을 손상시키는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방해 정보 오염 물질의 일반적인 예로는 원치 않는 전자 메시지(스팸)와 인스턴트 메시지(특히 직장에서)가 있다.[8] 휴대전화(벨소리와 내용)는 여러 상황에서 파괴적이다. 혼란스러운 정보 오염이 항상 기술 기반은 아니다. 일반적인 예는 구독자가 제공된 기사의 절반도 읽지 않거나 전혀 읽지 않는 신문이다.[9] 지도의 불필요한 상표와 같은 불필요한 메시지도 주의를 산만하게 한다.[8]

또는 정보의 품질이 저하되면 정보가 오염될 수 있다. 이는 부정확하거나 오래된 정보 때문일 수 있지만,[7] 정보가 잘못 제공된 경우에도 발생한다. 예를 들어 내용이 초점이 맞지 않거나 불분명하거나 어수선하거나 장황하거나 잘못 구성된 문서에 표시되면 독자가 이해하기 어렵다.[10]

법률 및 규정은 변경 및 개정을 거친다. 이러한 법률을 해석하는 데 사용되는 안내서 및 기타 출처는 변경 사항보다 몇 년 뒤처져 대중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원인

[편집]

문화적 요인

[편집]

문화적 요인은 정보 오염에 기여했다:

정보는 전통적으로 좋은 것으로 여겨져 왔다. 우리는 "정보는 늘 과하지 않다", "정보는 많을수록 좋다",[8] "아는 것이 힘이다"와 같은 말에 익숙하다.[7] 출판 및 마케팅 업계는 고객의 요구에 관계없이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책, 잡지 및 브로셔를 대량으로 인쇄하는 데 익숙해졌다.[9]

정보가 모든 사람에게 더 쉽게 전달되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은 민주화된 정보 공유이다. 이것은 정보 빈곤층과 정보 부자 사이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긍정적인 단계일 뿐만 아니라 진보와 개인 권한 부여의 신호로 인식된다.[6][7] 그러나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정보의 양을 늘리는 효과도 있다. 이로 인해 귀중한 정보를 소음과 구분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웹 사이트, 기술, 신문 및 일상 생활에서 지속적으로 광고를 사용하는 것을 "문화 오염"이라고 한다.[11]

정보 기술

[편집]

20세기의 기술 발전, 특히 인터넷은 정보 오염을 가중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개인 웹사이트모바일 기술은 모두 "소음" 증가에 기여한다.[8] 오염 수준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메일은 기업 환경에서 더 많은 정보 오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10] 휴대전화는 기차 객차와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 특히 방해가 될 수 있다.

효과

[편집]

정보 오염의 영향은 여러 수준에서 볼 수 있다.

개인

[편집]

개인 수준에서 정보 오염은 선택지를 평가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찾는 개인의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정보 과부하와 불안, 결정 마비 및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다.[10] 학습 과정을 방해할 수도 있다.[12]

사회

[편집]

일부 저자는 정보 오염과 정보 과부하로 인해 관점과 도덕적 가치가 상실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13] 이 주장은 과학적 발견, 건강 경고 또는 정치와 같은 주제에 대해 사회가 보여주는 무관심한 태도를 설명할 수 있다.[1] 오염은 사람들을 신문 표제에 덜 민감하게 만들고 새로운 교훈에 더 냉소적으로 만든다.

사업

[편집]

정보 오염은 정보 과부하와 스트레스에 기여하여 의사 결정을 방해한다. 늘어난 처리 시간은 쉽게 생산성과 수익 손실로 이어진다. 잘못된 의사 결정은 치명적인 오류의 위험을 늘린다.[1][10]

해결책

[편집]

제안된 해결책에는 관리 기술과 개선된 기술이 포함된다.

  • 기술 기반 대안에는 정보의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1] 및 대시보드가 포함된다.[8] 빈번한 중단을 유발하는 기술은 "오염"이 적은 옵션으로 대체될 수 있다.[5] 또한 기술은 프레젠테이션 품질을 향상시켜 이해를 돕는다.
  • 전자 메일 사용 정책[10] 및 정보 무결성 보증 전략이 도움이 될 수 있다.[1] 시간 관리스트레스 관리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는 우선 순위 설정 및 중단 최소화가 포함된다. 개선된 쓰기 및 프레젠테이션 관행은 다른 사람에 대한 정보 오염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관련 용어

[편집]

Infollution: 2002년 국제 전기 통신 학회 (ITS) 제14회 격년 학회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조백재 전 KTC (한국 통신 공사) 사장 겸 CEO가 연설에서 만든 용어이다. 이는 정보 기술과 그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발생한다.[14]

같이 보기

[편집]

출처

[편집]
  1. Orman, Levent (1984). “Fighting Information Pollution with Decision Support System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 (2): 64–71. doi:10.1080/07421222.1984.11517704. JSTOR 40397792. 
  2. Kai-Yuan Cai; Chao-Yang Zhang (1996). 〈Towards a research on information pollution〉. 《1996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Information Intelligence and Systems (Cat. No.96CH35929)》 4. 3124쪽. doi:10.1109/ICSMC.1996.561484. ISBN 0-7803-3280-6. S2CID 61082655. 
  3. “Web guru fights info pollution” (영국 영어). 2003년 10월 13일. 2020년 3월 24일에 확인함. 
  4. Ettinger, M.B. (1971). “A solution to the information pollution problem”. 《Chemical Technology》 1 (6): 330–331. 
  5. Bray, D.A. (2008). Information Pollution, Knowledge Overload, Limited Attention Spans, and Our Responsibilities as IS Professionals.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Association (GITMA) World Conference.
  6. Nayar, Madhavan K. (2004). “Information Integrity (I*I): The Next Quality Frontier”. 《Total Quality Management & Business Excellence》 15 (5–6): 743–751. doi:10.1080/14783360410001680224. S2CID 154491146. 
  7. Capurro, R. (1990). Towards an Information Ecology. In: I. Wormell, ed. Information and Quality. London: Taylor Graham. pp. 122–139
  8. Nielsen, J. (2003). “IM, Not IP (Information Pollution)”. 《ACM Queue》 1 (8): 75–76. doi:10.1145/966712.966731. S2CID 28242184. 
  9. Mitchell, A. (1999). “High prize for tackling information pollution”. 《Marketing Week》 22 (17): 28.  EBSCOhost 1977624
  10. Managing Information. 2008. In Focus: Managing the 'Information Pollution'. Managing Information, 14(10), pp. 10–12
  11. Gary Armstrong; Stewart Adam; Sara Denize; Philip Kotler (2014). 《Principles of Marketing》. Pearson Australia. 463쪽. ISBN 978-1-4860-0253-5. 
  12. Doomen, J. (2009). “Information Inflation” (PDF). 《Journal of Information Ethics18 (2): 27–37. doi:10.3172/JIE.18.2.27. [깨진 링크]
  13. Arthur, Chris (1993). “Zen and the art of ignoring information”. 《The Information Society》 9: 51–60. doi:10.1080/01972243.1993.9960131. 
  14. Cho, Paek J. (2002년 3월 20일). 'Infollution' and the Quality of Life” (PDF). 《Stanford.edu》. 2017년 5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