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
발달과정 |
갑골문자 금문 전서 (대전, 소전) 번체 간체 |
서체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글꼴 |
송조체 · 명조체 · 청조체 · 고딕체 · 굴림체 · 교과서체 |
분류법 |
필획 · 필순 · 육서 · 부수 |
한자의 표준화 |
표준 |
상용한자 강희자전 |
문자 개혁 |
본자 정체자 간체자 약자 신자체 |
한자의 주음및 표음화 |
반절 · 주음부호 · 창힐수입법 · 한어병음 |
나라별 사용 |
중국 대륙·대만 홍콩·마카오 한국(한국 한자음) 일본(일본 한자음 · 류큐 한자음) 베트남(한월어 · 고한월어) |
파생문자1 |
한국제 한자(이두, 향찰, 구결) · 일본 국자 · 쯔놈 · 방언자·측천 문자·방괴장자· 방괴동자 |
파생문자2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여서문자 · 서하 문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제2차 한자 간화 방안(중국어 간체자: 第二次汉字简化方案, 정체자: 第二次漢字簡化方案)〉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중국문자개혁위원회가 〈제1차 한자 간소화 방안〉에 이어 1977년 12월 20일에 발표한 한자의 개혁안이다. 이 개혁안에 따라 만들어진 한자를 이간자(중국어 간체자: 二简字, 정체자: 二簡字)라고 한다.
발표 후 시행된 제1표(248자)와 민간의 논의에 의해 가부를 결정하는 제2표(605자)의 2개로부터 만들어졌다. 사회적 혼란이 일었기 때문에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에 의해 폐지되었다.
혼란이 일어났지만 간화의 방법은 〈제1차 한자 간화 방안〉과 큰 차이는 없다. 이하 주된 것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음을 나타내는 부분을 교환한다. 예는 다음과 같다.
원래 글자의 의미로부터 별도의 새 글자를 만든다. 예는 다음과 같다.
이간자 | 규범 간화자 | 이간자 | 규범 간화자 |
---|---|---|---|
桔 | 橘 | 兰 | 蓝·篮 |
咀 | 嘴 | 予 | 预·豫 |
帐 | 账 | 扇 | 煽·搧 |
肖 | 萧 | 杆 | 秆·竿 |
欠 | 歉 | 弁 | 辩·辨·辫 |
令 | 龄 | 委 | 诿·萎·痿 |
闫 | 阎 | 伐 | 筏·阀·垡 |
元 | 圆 | 敦 | 墩·礅·蹾·撉 |
邦 | 帮 | 㐫 | 脑·瑙·碯·垴 |
迂 | 遇 | 夆 | 蜂·峰·烽·锋 |
交 | 跤 | 匡 | 筐·框·眶·诓·哐 |
付 | 副 | 毕几 | 哔叽 |
太 | 泰 | 辟历 | 霹雳 |
采 | 彩 | 科斗 | 蝌蚪 |
迊 | 迎 | 丘引 | 蚯蚓 |
제2차 한자 간화 방안이 폐기된 지금도 민간에서는 계란을 鸡蛋이 아니라 鸡旦으로, 정차 안내판의 표기를 停车가 아니라 仃车로, 지역 표기를 冀가 아니라 丠 로, 豫가 아니라 予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제2차 한자 간화 방안의 문자들이 쓰기에 간단하기 때문에 민간에서 약자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제2차 한자 간화 방안은 심지어 한 성씨를 두 성씨로 갈라 버리기도 했다. 본래 중국어 정체자: 蕭, 병음: Xiāo 샤오[*]씨는 일반적인데 비해 중국어: 肖, 병음: Xiào 샤오[*]씨는 역사 교과서에서만 드문드문 언급될 정도로 매우 희귀 성씨였다. 제1차 한자 간화 방안을 거치면서 蕭는 萧로 간화되었고, 萧와 肖의 구별은 계속 유지되었다. 그러나 제2차에서는 이 두 글자가 肖로 통합되었다. 제2차 한자 간화 방안이 취소되었음에도 몇몇 사람들은 肖를 그들의 성으로 유지하였는데, 이에 따라 지금은 한 성씨였던 것이 萧와 肖 두 성씨로 나뉘어버렸다.
유니코드를 비롯한 대부분의 중국어 인코딩 시스템에서는 이간자를 지원하지 않는다. 금석문자경에서는 제1표의 248자만 지원한다.
SongUni-PUA라는 폰트는 이간자들을 지원한다[1].
아래의 문장은 세계 인권 선언의 제1조를 이간자로 적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