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군상급사령부 | |||
---|---|---|---|
Armeeoberkommando 5 | |||
| |||
활동 기간 | 1914년 8월 2일 – 1919년 1월 30일 | ||
국가 | ![]() | ||
규모 | 야전군급 | ||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서부전선 |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본문 참조 |
제5군상급사령부(독일어: Armeeoberkommando 5; A.O.K. 5 아르미오버코만도 퓐프[*])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야전군급 사령부이다.
1914년 동원령으로 제7육군사찰단이 제5군상급사령부가 되었다. 1919년 독일이 전쟁에 지면서 육군 전체가 해산되는 과정에서 제5군도 해산되었다.[1]
전쟁 종료 시점 당시 제5군상급사령부의 전투서열은 다음과 같다.
1918년 10월 30일 이후 독일 제국 제5군 전투서열[2] | ||
---|---|---|
야전군급 | 군단급 | 사단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1사단 (오스트리아-헝가리) | ||
제106사단 (오스트리아-헝가리) 병력 일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106사단 (오스트리아-헝가리) 병력 일부 | ||
![]() | ||
![]() | ||
![]() | ||
![]() C 분견군으로 이동
|
![]() |
독일 제국 제5군상급사령부 사령관[3] | ||||
---|---|---|---|---|
취임일 | 계급 | 성명 | 이전보직 | 이후보직 |
1914년 8월 2일 | 소장 | 빌헬름 폰 프로이센 황태자 | 독일 황태자 집단군 | |
1915년 1월 27일 | 중장 | |||
1916년 11월 30일 | 보병대장 | 에발트 폰 로호프 | 마즈 집단 동부 | 예비역[4] |
1916년 12월 17일 | 포병대장 | 막스 폰 갈비츠 | 제2군상급사령부 | 갈비츠 집단군 |
1918년 9월 27일 | 기병대장 | 게오르크 폰 데어 마르비츠 | 제2군상급사령부 | 퇴역 |
![]() |
이 글은 군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