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훈 趙芝薰 | |
---|---|
작가 정보 | |
본명 | 조동탁 趙東卓 |
출생 | 1920년 12월 3일 일제 강점기 조선 경상북도 영양 |
사망 | 1968년 5월 17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47세)
국적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직업 | 시인 국문학자 문학평론가 수필가 번역문학가 사회운동가 대학 교수 |
학력 | 경성 혜화전문학교 전문학사 |
경력 | 고려대학교 교수 한국시인협회 회장 |
종교 | 유교(성리학) |
필명 | 호(號)는 지훈(芝薰) |
활동기간 | 1939년 ~ 1968년 |
장르 | 시문학, 수필, 평론, 번역 |
부모 | 조헌영(부), 전주 이씨 부인(모) |
배우자 | 김난희(아명: 김위남) |
자녀 | 슬하 3남 1녀 셋째아들 조태열(趙兌烈) |
형제 | 조동진(형) |
친지 | 조승기(증조할아버지) |
조지훈(趙芝薰, 1920년 12월 3일 ~ 1968년 5월 17일)은 일제 강점기 이후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수필가, 한국학 연구가, 시인으로, 청록파 시인 중 한 사람이다.[1]
본관은 한양(漢陽)이고 본명은 조동탁(趙東卓)이다. 경상북도 영양에서 태어났다. 독학으로 중학 과정을 마치고서 동국대학교[2]에 입학하여 국어국문학과를 나온 그는 1939년 《문장》지에 〈고풍의상〉과 〈승무〉[3]를 추천받아 문단에 등장하였다. 광복 후 경기여자고등학교 교사와 동국대학교 강사, 고려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1961년 벨기에에서 열린 국제 시인 회의에 대한민국 대표로 참석하였다. 이듬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장에 취임하면서 민족문화 개발에 주력하였다.
청록파의 한 사람으로 명시를 많이 남긴 조지훈의 시는 주로 자연, 무속, 선을 소재로 한 민족다운 색채가 짙고 불교 세계를 향한 관심은 종교의식을 일깨워 작품에 반영되었다. 박목월과 박두진을 비롯한 다른 청록파 시인이 후에 시 세계를 근본으로 변혁했는데 조지훈은 초기 자연과 친화한 시 세계를 꽤 많이 유지하였다. 1956년 자유문학상을 받았다. 그 후로도 활발히 문학 활동을 하며 고려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던 중 1968년 5월 고혈압으로 토혈한 후 입원, 고혈압과 기관지확장증의 합병증으로 5월 17일 49세의 젊은 나이로 끝내 타계했다.
시집으로 《청록집》과 《조지훈 시선》이 있고 수필집 《창에 기대어》, 논문집 《한국 민족운동사》 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