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국 해군육전대 | |||||
---|---|---|---|---|---|
中華民國海軍陸戰隊 | |||||
![]() 차이잉원 총통 앞에 사열한 제99여단 보병 제2대대 (2020년 7월 6일 촬영) | |||||
| |||||
활동 기간 | 1914년 2월 ~ 현재 | ||||
국가 | ![]() | ||||
소속 | ![]() | ||||
병과 | 해병대 | ||||
종류 | 해군육전대 | ||||
역할 | 양서전 | ||||
규모 | 2개 작전여단 | ||||
명령 체계 | 중화민국 해군사령부 | ||||
본부 | 대만 가오슝시 쭤잉구 쭤잉 해군기지 | ||||
표어 | 永遠忠誠→영원충실 | ||||
군가 | 육전대가 | ||||
참전 |
중화민국 해군육전대(중국어 정체자: 中華民國海軍陸戰隊;, 병음: Zhōnghuá Mínguó Hǎijūnlùzhàndùi, 영어: Republic of China Marine Corps (ROCMC))는 중화민국 해군의 육전대이다.
대륙 시기의 국민정부부터 있었고 국부천대이후 본토수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로안해 1970년대에는 1개 사단, 2개 여단급 규모로 컸다.
그러나, 현재는 10,000명수준으로 대한민국 해병대, 미국 해병대, 러시아 해군 보병에 비하면 굉장히 작다
1909년 청나라 정부가 서양해군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해군대신 자이순을 유학보냈다.
1912년, 북양정부 해군부는 해군경위대를 창설하였다.
1914년 12월, 북양정부 해군부는 해군부장 Liu Guanxiong의 주장에 따라 해군경위대를 해군육전대로 재편성하였다.
1948년, 해군경위연대가 해군육전대로 넘겨지고 제1,2,3연대로 개편되었다.
1949년, 쓰촨성 청두를 마지막으로 대만으로 대규모 퇴각하였다.
하이난섬에 주둔하고 있던 육전대 제2여단을 포함한 중화민국 국군은 1950년 4월 16일에 중국 인민해방군의 상륙으로 시작된 전투에서 살아남은 병력은 대만으로 퇴각하였다.
1955년 1월, 해군육전대 제2여단과 육군 제45사단을 병합하여 육전 제1사단을 편성하였다.
1966년 9월, 육전대 제1여단과 육군 제81사단을 병합하여 육전 제2사단을 편성하였다.
1967년, 등륙전차지휘부를 설립하였다.
1969년 3월 등록전차지휘부는 연대로 감편되었다.
1979년 3월, 해군육전대 신병훈련소 및 3군연합훈련기지지휘부를 병합하여 육전 제77사단을 편성하였다.
1984년 7월, 육전 제77사단이 해체되고, 신병훈련소와 3군연합훈련기지지휘부로 되돌려졌다. 사단 편제는 전시 편제로 지정되었다.
1997년 7월 이후, 精實案, 정실안에 따라 전략을 중국 대륙 공격에서 대만 방어로 바꿈에 맞춰 모든 사단을 여단으로 축소하였다. 육전여단, 수비여단, 기지경위여단, 우추 지휘부, 훈병훈련지휘부
2004년 4월, 신병훈련지휘부가 후비사령부로, 보수대대 산하 탄약중대가 연합후근사령부로 전속하였다.
2005년 1월, 해군 3군연합작전훈련기지지휘부가 육전대 지휘부로, 해군수중폭파대대가 중대가 감편되고 양서정수대대로, 해군해안경비중대(중국어 정체자: 灘岸勤中隊, 한자음: 탄안근중대), 장비중대가 공안대대로 전속하였다. 4월 1일 육전여단과 수비여단이 육전 제66여단, 99여단으로, 7월 1일에, 기지경위여단이 육전 제77여단으로, 공안대대가 탄안근무대대로, 통신전자대대는 통자전대대로 개명되었다.
2006년 3월, 해군육전대 사령부가 지휘부로 지위가 한단계 낮아졌다.
2011년 1월 1일, 육전군악대(陸戰軍樂隊)가 해산하였다.
2013년 11월 2일, 육전 제77여단이 방공경위군으로 개편되었다.
해군육전대지휘부(海軍陸戰隊指揮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