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격차는 정보나 지식을 발견, 창조, 관리, 처리, 전파할 수 있는 사람과 이 과정에서 이를 따라가지 못한 사람과의 격차이다. 2005년 유네스코 세계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정보사회의 21세기 상승은 지식의 출현을 귀중한 자원으로서, 누가 권력과 이익에 접근할 수 있는지를 점점 더 결정짓는 결과를 가져왔다.[1] 새로운 정보미디어[2]의 결과로서 잠재적으로 세계적인 규모의 정보를 신속하게 보급하고 지식과 정보를 동화시키는 글로벌 불균형한 능력은 개인과 국가 간의 지식 격차를 잠재적으로 확대하는 결과를 낳았다.[3] 정보 격차는 지식 격차의 확장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나누는 것이다. 지식의 분열은 또한 인종, 경제적 지위, 성별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른 정체성 사이의 지식 불평등을 나타낸다.
21세기에 들어서면 지식사회의 출현이 확산된다.[4] 세계경제와 각 사회의 변혁은 속도가 빠르다. 정보통신기술(ICT)과 함께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은 세계 경제를 재편할 힘을 가지고 있다.[5] 혁신에 보조를 맞추려면,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놓기 위해서는 사람들은 지식을 생산하고 관리해야 한다. 지식이 모든 사회에 필수적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신기술의 성장으로 모든 사회에 지식이 필수적이 된 반면, 대중 매체 정보의 증가는 교육적 차이를 가진 사람들 사이의 지식 분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계속된다.[6]
유네스코와 세계은행[7]에 따르면, 국가 간 지식 격차는 개별 국가가 다음과 같은 요소를 포함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 인권 및 기본적 자유: 한 사회 내에서 자유가 결여되면 그 사회 구성원의 지식 습득, 토론 및 전달 능력을 감소시키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국가 간 지식과 정보의 확산에 필수적인 것은 표현의 자유, 검열 부재, 정보의 자유로운 유통, 언론의 자유와 같은 자유다.[8]
- 민주주의
- 지식 및 정보의 다원성: 여기에는 다양한 매체[9]와 다양한 형태의 지식의 수용이 포함된다.[10]
- 품질 인프라: 예를 들어, 전력망이 부족하면 컴퓨터 네트워크나 고등 교육 기관의 존재는 성취할 수 없게 된다.
- 효과적인 통신 시스템: 이것은 지식의 보급이나 국가간, 그리고 국가간 사상의 이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11]
- 효과적인 교육 시스템: 국가 간 지식 격차는 개별 국가가 초등학교 교육에 너무 적게 투자할 때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전체 교육 시스템의 기반 역할을 한다.[12] 유네스코에 따르면, 한 국가가 지식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초등교육이 기본적인 문해력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13] 그러나 다른 사람들이 지적했듯이 국가 간, 특히 대한민국과 같은 신흥 산업 국가들과 선진 산업 사회 간의 지식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고등교육이 동등하게 중요할 수 있다.[14] 전자의 경우 고등교육은 지식격차를 해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인구의 소수 엘리트 이상의 혜택을 받아야 하며 국제표준에서 가르쳐야 한다.[15] 한 사회로부터의 교육기관의 부실한 발전은 그 사회에 속한 사람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친다.
- 연구 및 혁신에 집중: 세계은행이 제안했듯이, 한 국가 내의 연구 개발은 세계 지식의 현재 발전을 따를 수 있고, 또한 그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외부 지식과 기술을 적응시키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게 할 수 있다.[16] 연구개발 수준이 낮은 국가에서는 정부 지원금이 상당한 부분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는 나중에 민간 투자에 의해 인수될 수 있다.[17] 효과적인 교육시스템과 밀접하게 연계된 것은 국가가 학문의 자유를 허용할 필요성이다.[18] 고등교육기관은 연구개발에 중요한 기여자이므로[19] 이들 기관은 지식을 창출하고 보급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받아야 한다.[20] 연구와 혁신을 지지하는 환경은 또한 지식빈국으로부터 지식부국에 이르는 교육받은 개인의 "두뇌 유출"을 막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21]
- 지적재산권: 연구와 혁신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은 국가 및 국제 지적재산권이다. 한 국가 내에서 지적재산권은 새로운 지식개발에 투자하기 위한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연구와 혁신을 일으킬 수 있다.[22] 그러나 세계은행이 기술한 바와 같이 기술혁신을 보호함으로써 지적재산권은 지식공유도 저해할 수 있으며 개도국이 다른 국가에서 생산한 지식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23]
성별, 인종, 민족성, 사회경제적 지위에서의 지식 격차
[편집]
첫째, 남북 간에 큰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주목했다[어디에?] (부국 대 가난한 나라들. 지식의 발달은 인터넷과 컴퓨터 기술의 보급과 이들 국가의 교육의 발달에 달려 있다. 만약 한 나라가 더 높은 수준의 읽고 쓰는 능력을 갖게 된다면, 이것은 더 높은 수준의 지식을 얻게 될 것이다. 사실, 유네스코의 보고서는 세계화와 관련된 지식의 분열에 관한 많은 사회적 문제들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에 관한 지식의 분열이 눈에 띄었다.
- 성별 : 남녀간의 사회문화적 불평등, 예를 들어 교육과 기술의 불평등한 접근은 지식의 불평등한 접근을 위한 여건을 조성한다. 이는 국가 내부와 국가 간에 상당한 지식 격차를 야기할 수 있으며, 후자는 개별 국가의 완전한 지식 인력 활용 부족에서 기인한다.[24] 인터넷 사용의 격차도 발견되었다. 여성들은 인터넷을 의사소통에 사용하는 경향이 더 높은 반면, 남성은 인터넷을 상업, 정보, 오락에 사용하는 경향이 더 높다.[25]
- 인종: 연구에 따르면, 수십 년 동안 IT에 대한 접근성의 격차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흑인들과 다른 인종 집단들 사이에 IT 사용에 큰 차이가 있다고 한다. 이러한 연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방식에 다른 미국계 인종 집단과 비교했을 때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6]
- 사회경제적: 2008-2009년 미국 선거 연구 패널 데이터에 근거한 연구에 따르면, 사회경제적 지위는 인터넷에 대한 접근보다 인터넷의 정보 이용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사회경제적 집단 간의 인터넷의 차등 사용은 지식 격차[27].
학자들은 개인, 공동체, 국가 간의 지식 격차를 줄이거나 최소화하면서 비슷한 가능성을 만들어 왔다. 컴퓨터와 지식을 보급하는 다른 기술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것은 정보격차를 해소하는 데 충분하지 않다. 오히려 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디지털 사용능력 개발에 중요성이 제기되어야 한다.[28] 정보격차를 해소하는 것은 지식격차를 해소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것이며, 관련 지식을 보급하는 것 역시 훈련과 인지능력에 달려 있다.[29]
- Hakkarainen, K., & Palonen, T. (2003). Patterns of female and male students' participation in peer interaction in computer-supported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40, 327–342.([1][permanent dead link])
- Scardamalia, M. (2003). Crossing the digital divide: Literacy as by-product of knowledge building.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7 (Suppl. 3, Learning Technology Innovation in Canada), 78-81. ([2])
- Scardamalia, M., & Bereiter, C. (2003). Knowledge building environments: Extending the limits of the possible in education and knowledge work. In A. DiStefano, K. E. Rudestam, & R. Silverman (Eds.), Encyclopedia of distributed learning (pp. 269–272).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
- ↑ 가 나 《Towards knowledge societies》. Paris, France. ISBN 92-3-104000-6.
- ↑ 가 나 UNESCO 2005, 160.
- ↑ 가 나 Stiglitz, Joseph E. (1999년 7월 29일). 《Knowledge as a Global Public Good》. Oxford University Press. 308–325쪽. ISBN 978-0-19-513052-2.
- ↑ UNESCO World Report (2005) Towards Knowledge Societies; retrieved from http://unesdoc.unesco.org/images/0014/001418/141843e.pdf
- ↑ Information Society Commission (2002). Building the Knowledge Society - Report to Government, December 2002 retrieved from http://www.isc.ie/downloads/know.pdf Archived 2007-11-21 at the Wayback Machine
- ↑ Lind, Fabienne; Boomgaarden, Hajo G. (2019-07-03). "What we do and don't know: a meta-analysis of the knowledge gap hypothesis". Annal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43 (3): 210–224. doi:10.1080/23808985.2019.1614475. ISSN 2380-8985.
- ↑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Report: Knowledge for Developmen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 ↑ UNESCO 2005, 28.
- ↑ UNESCO 2005, 28.
- ↑ UNESCO 2005, 60
- ↑ Stiglitz, 317-318.
- ↑ Stiglitz, 317.
- ↑ UNESCO 2005, 72.
- ↑ Stiglitz, 317.
- ↑ Stiglitz, 317.
- ↑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Report, 1999, 36.
- ↑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Report, 1999, 36.
- ↑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Report, 1999, 36.
- ↑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Report 1999, 36.
- ↑ UNESCO 2005, 28.
- ↑ UNESCO 2005, 160.
- ↑ UNESCO 2005, 160.
- ↑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Report 1999, 34.
- ↑ UNESCO World Report 2005, 167-168.
- ↑ Jackson, Linda A.; Zhao, Yong; Kolenic, Anthony; Fitzgerald, Hiram E.; Harold, Rena; Von Eye, Alexander (23 August 2008). "Race, Gend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Use: The New Digital Divide". CyberPsychology & Behavior. 11 (4): 437–442. doi:10.1089/cpb.2007.0157. ISSN 1094-9313. PMID 18721092
- ↑ Jackson, Linda A.; Zhao, Yong; Qiu, Wei; Kolenic, Anthony; Fitzgerald, Hiram E.; Harold, Rena; von Eye, Alexander (17 September 2008). "Culture, gend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use: A comparison of Chinese and US childre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4 (6): 2817–2829. doi:10.1016/j.chb.2008.04.007. ISSN 0747-5632.
- ↑ Wei, Lu; Hindman, Douglas Blanks (2011-02-28). "Does the Digital Divide Matter More? Comparing the Effects of New Media and Old Media Use on the Education-Based Knowledge Gap".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14 (2): 216–235. doi:10.1080/15205431003642707. ISSN 1520-5436.
- ↑ Wei, Lu; Hindman, Douglas Blanks (2011-02-28). "Does the Digital Divide Matter More? Comparing the Effects of New Media and Old Media Use on the Education-Based Knowledge Gap".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14 (2): 216–235. doi:10.1080/15205431003642707. ISSN 1520-5436.
- ↑ UNESCO 200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