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Stephanitis pyrioides |
---|---|
계 | 동물 |
문 | 절지동물 |
강 | 곤충류 |
목 | 노린재목 |
과 | 방패벌레과 |
속 | Stephanitis |
종 | pyrioides |
몸의 빛깔 | 검은색, 등면은 회색으로 희미한 광택이 있음 |
서식장소 | 건조한 지역에 있는 진달래, 철쭉류 |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타이완·북아프리카·네덜란드·미국(동부)·오스트레일리아 |
진달래방패벌레(Azalea lace bug)는 3.5~4mm의 흑갈색이고 등은 회백색의 방패모양이다. 날개가 크고 접었을 때 X자모양의 반문이 보인다. 약충은 흑갈색이며 털 모양의 돌기가 있다.
서식장소는 건조한 지역에 있는 진달래이다.
분포지역은 한국[2]·일본·중국·대만·북아프리카·네덜란드·미국미(동부)·오스트레일리아이다.
진달래방패벌레의 피해를 입은 기주식물의 특성상 육안으로 관찰하여 피해를 발견하기가 쉬우므로 피해상태 및 유해충의 개체 발견 시 빠른 시일내에 방제 작업을 진행한다.
통상적으로는 약충이 관찰되는 발생 초기(4월~5월경)에 시작한다. 다만 당해년 봄과 여름시기의 기온상승 등의 이유로 출현 시기가 빨라지거나, 방제를 진행했음에도 재차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5월 1세대 발생초기에 이미다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8%) 2,000배액 또는 메티다티온 유제(40%)[3] 1,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다. 1세대 발생 초기인 5월 초순에 이미다클로프리드 입제(2%) 또는 카보퓨란입제(3%)를 ha당 30kg을 살포한다.
포식성 천적인 무당벌레과, 풀잠자리목, 거미강 등을 보호한다.
피해 잎을 제거하여 소각한다.
산림청-산림청소개>기관 안내 : 진달래방패벌레[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