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익거래가격결정이론(Arbitrage pricing theory, APT)은 금융 분야에서 다양한 거시경제적(체계적) 위험 변수를 금융 자산 가격 책정과 연관시키는 자산 가격 책정에 대한 다요소 모델이다. 1976년 경제학자 스티븐 로스(Stephen Ross)[1]가 제안한 이 모델은 이전 모델인 자본자산 가격결정 모형(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에 대한 향상된 대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2] APT는 일가의 법칙에 기초하여 균형 시장 내에서 합리적인 투자자가 차익거래를 실행하여 결국 균형 가격이 실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2] 따라서 APT는 특정 기간에 차익거래 기회가 소진되면 자산의 기대 수익률은 다양한 요인 또는 이론적 시장 지수의 선형 함수이며, 여기서 각 요인의 민감도는 요인별 베타 계수나 인자 로딩으로 표시된다고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거래자에게 '진정한' 자산 가치에 대한 지표를 제공하고 차익거래를 통해 시장 불일치를 활용할 수 있다. APT의 선형 요인 모델 구조는 자산 배분, 관리 펀드의 성과 및 자본 비용 계산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된다.[3] 또한 최신 APT 모델은 이전 CAPM 모델보다 더 이론적인 적용에 활용되는 것이 더 역동적이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