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단

초성단(영어: Super star cluster, SSC)은 구상성단의 원형으로 여겨지는 매우 무겁고 어린 산개성단이다.[1] 이들은 보통 상당수의 어리고 무거운 별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우리은하에서 소위 "초밀집 H II 영역(UDHII)"으로 불리는 것들과 유사한, 주변의 H II 영역이 이온화 된다.[2] 결과적으로 SSC의 H II 영역은 티끌로 이루어진 고치로 둘러싸여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서 별들과 H II 영역은 높은 수준의 소광으로 인해 가시 관측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매우 어린 초성단은 전파적외선 영역에서 가장 관측하기 쉽다.[3]

초성단의 특이한 성질로는 ne = 103 ~ 106 cm-3에 이르는 큰 전자 밀도와 P/kb = 107 ~ 1010 K*cm-3에 이르는 압력이 있다.[3]

목록

[편집]
명칭 은하 설명 주석
베스테르룬드 1 (Wd1) 우리은하 우리은하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초성단 [4]
NGC 3603 우리은하 [5]
R136 대마젤란운 (LMC) SSC 원형 [6]
NGC 1569 이 은하는 두 개의의 초성단을 포함하고 있다. [7]

각주

[편집]
  1. Gallagher & Grebel (2002). “Extragalactic Star Clusters: Speculations on the Future”. 《Extragalactic Star Clusters, IAU Symposium》 207: 207. arXiv:astro-ph/0109052. Bibcode:2002IAUS..207..745G. 
  2. Kobulnicky, Henry A. & Johnson, Kelsey E. (1999). “Signatures of the Youngest Starbursts: Optically Thick Thermal Bremsstrahlung Radio Sources in Henize 2-10”. 《ApJ》 527 (1): 154–166. arXiv:astro-ph/9907233. Bibcode:1999ApJ...527..154K. doi:10.1086/308075. 
  3. Johnson (2004). “Extragalactic Ultracompact HII Regions: Probing the Birth Environments of Super Star Clusters”.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Conference Series》 527: 322. arXiv:astro-ph/0405125. Bibcode:2004ASPC..322..339J. 
  4. Clark, J. S.; Negueruela, I.; Crowther, P. A.; Goodwin, S. P. (2005). “On the massive stellar population of the super star cluster Westerlund 1”.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4 (3): 949. Bibcode:2005A&A...434..949C. doi:10.1051/0004-6361:20042413. 
  5. Fukui, Y.; Ohama, A.; Hanaoka, N.; Furukawa, N.; Torii, K.; Dawson, J. R.; Mizuno, N.; Hasegawa, K.; Fukuda, T.; Soga, S.; Moribe, N.; Kuroda, Y.; Hayakawa, T.; Kawamura, A.; Kuwahara, T.; Yamamoto, H.; Okuda, T.; Onishi, T.; Maezawa, H.; Mizuno, A. (2014). “Molecular Clouds Toward the Super Star Cluster Ngc 3603; Possible Evidence for a Cloud-Cloud Collision in Triggering the Cluster Formation”. 《The Astrophysical Journal》 780: 36. Bibcode:2014ApJ...780...36F. doi:10.1088/0004-637X/780/1/36. 
  6. Massey, Philip; Hunter, Deidre A. (1998). “Star Formation in R136: A Cluster of O3 Stars Revealed by Hubble Space Telescope Spectroscopy”. 《The Astrophysical Journal》 493: 180. Bibcode:1998ApJ...493..180M. doi:10.1086/305126. 
  7. Hunter, Deidre A.; O'Connell, Robert W.; Gallagher, J. S.; Smecker-Hane, Tammy A. (2000). “The Star Clusters in the Starburst Irregular Galaxy NGC 1569”. 《The Astronomical Journal》 120 (5): 2383. Bibcode:2000AJ....120.2383H. doi:10.1086/316810.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