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시퀘스트린은 근소포체 내에서 칼슘 완충제(calcium buffer) 역할을 하는 칼슘 결합 단백질이다. 근소포체의 칼슘 농도가 세포기질보다 훨씬 높아서 칼슘이 근소포체에서 세포기질로 확산되어야 하나, 칼시퀘스트린이 칼슘에 결합하여 근수축 후 근소포체의 수조에 칼슘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근소포체가 많은 양의 칼슘 이온을 저장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칼시퀘스트린의 각 분자는 18~50개의 Ca2+ 이온과 결합할 수 있다.[1]염기서열 분석에 따르면, 칼슘은 EF-hand를 통해 별개의 포켓(단백질 표면의 움푹 파인 영역)에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하전된 단백질 표면을 통해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칼시퀘스트린에는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칼시퀘스트린에 결합된 칼슘이 방출(칼슘 통로를 통해서)되면 근수축을 유발한다. 활성 단백질은 고도로 구조화되어 있지 않아, 그 중 50% 이상이 무작위 코일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칼슘이 칼시퀘스트린에 결합하면 단백질의 알파-나선 함량이 3%에서 11%로 증가함으로써 구조적 변화가 일어난다.[2] 칼시퀘스트린의 두 가지 형태 모두 카제인 키네이스 2에 의해 인산화되지만 심장에 존재하는 칼시퀘스트린이 더 빠르게, 더 많이 인산화된다.[3]
↑Katz, Arnold M. (2005). 《Physiology of the Heart》 4판.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2쪽. ISBN978-0-7817-5501-6.
↑Slupsky JR, Ohnishi M, Carpenter MR, Reithmeier RA (October 1987). “Characterization of cardiac calsequestrin”. 《Biochemistry》 26 (20): 6539–44. doi:10.1021/bi00394a038. PMID3427023.
↑Cala SE, Jones LR (January 1991). “Phosphorylation of cardiac and skeletal muscle calsequestrin isoforms by casein kinase II. Demonstration of a cluster of unique rapidly phosphorylated sites in cardiac calsequestrin”. 《J. Biol. Chem.》 266 (1): 391–8. doi:10.1016/S0021-9258(18)52447-9. PMID1985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