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시 응집판정법 (-凝集判定法, Cauchy condensation test )은 오귀스탱 루이 코시 의 이름이 붙은 무한급수 의 수렴판정법 이다. 음이 아닌 실수 의 감소수열 에 대한 급수
a
1
+
a
2
+
a
3
+
a
4
+
a
5
+
a
6
+
a
7
+
⋯
⋯
{\displaystyle a_{1}+a_{2}+a_{3}+a_{4}+a_{5}+a_{6}+a_{7}+\cdots \cdots }
의 수렴성을, 2의 거듭제곱 번째 항만으로 재구성한 급수
a
1
+
a
2
+
a
2
+
a
4
+
a
4
+
a
4
+
a
4
+
⋯
⋯
{\displaystyle a_{1}+a_{2}+a_{2}+a_{4}+a_{4}+a_{4}+a_{4}+\cdots \cdots }
의 수렴성으로 귀결시킨다.
{an } 이 실수열이고 임의의 자연수 n 에 대해 an ≥ 0 , an ≥ a n + 1 일 때,
∑
n
=
1
∞
a
n
{\displaystyle \textstyle {\sum _{n=1}^{\infty }a_{n}}}
이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
n
=
0
∞
2
n
a
2
n
{\displaystyle \textstyle {\sum _{n=0}^{\infty }2^{n}a_{2^{n}}}}
가 수렴하는 것이다.[ 1] :61-62 더 나아가, 원래 급수의 합의 범위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2] :171, §7.3, Proposition 7.3.4
∑
n
=
1
∞
a
n
≤
∑
n
=
0
∞
2
n
a
2
n
≤
2
∑
n
=
1
∞
a
n
{\displaystyle \sum _{n=1}^{\infty }a_{n}\leq \sum _{n=0}^{\infty }2^{n}a_{2^{n}}\leq 2\sum _{n=1}^{\infty }a_{n}}
극히 소수의 항만을 이용해 전체 급수의 수렴성을 판정하는 것이 이 판정법의 특징이다.
부분합 에 관한 부등식
∑
n
=
1
2
k
+
1
−
1
a
n
≤
∑
n
=
0
k
2
n
a
2
n
≤
2
∑
n
=
1
2
k
a
n
{\displaystyle \sum _{n=1}^{2^{k+1}-1}a_{n}\leq \sum _{n=0}^{k}2^{n}a_{2^{n}}\leq 2\sum _{n=1}^{2^{k}}a_{n}}
을 증명하면, 두 급수는 부분합의 유계성이 같아 단조수렴정리 에 의해 수렴성이 같다. 또 여기에 극한을 취하면 위에서의 범위 추정도 증명된다. 세 부분합을 전개하고, 아래와 같이 항을 괄호로 조금씩 묶어 전개식 하나당 k + 1 개의 묶음을 만들어서, 같은 위치의 묶음끼리 비교하면 (예를 들어 셋째 열에서, an 이 감소함에 따라 a 4 + a 5 + a 6 + a 7 ≤ a 4 + a 4 + a 4 + a 4 ≤ a 3 + a 3 + a 4 + a 4 ) 부분합에 관한 부등식은 증명된다.
a
1
+
(
a
2
+
a
3
)
+
(
a
4
+
a
5
+
a
6
+
a
7
)
+
⋯
≤
a
1
+
(
a
2
+
a
2
)
+
(
a
4
+
a
4
+
a
4
+
a
4
)
+
⋯
≤
(
a
1
+
a
1
)
+
(
a
2
+
a
2
)
+
(
a
3
+
a
3
+
a
4
+
a
4
)
+
⋯
{\displaystyle {\begin{matrix}&a_{1}&+&(a_{2}+a_{3})&+&(a_{4}+a_{5}+a_{6}+a_{7})&+&\cdots \\\leq &a_{1}&+&(a_{2}+a_{2})&+&(a_{4}+a_{4}+a_{4}+a_{4})&+&\cdots \\\leq &(a_{1}+a_{1})&+&(a_{2}+a_{2})&+&(a_{3}+a_{3}+a_{4}+a_{4})&+&\cdots \\\end{matrix}}}
코시 응집판정법은
n
{\displaystyle n}
이 분모에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전형적인 예인 조화급수
∑
n
=
1
∞
1
n
{\displaystyle \textstyle \sum _{n=1}^{\infty }{\frac {1}{n}}}
의 수렴 여부는
∑
1
{\displaystyle \textstyle \sum 1}
가 발산함에 따라 쉽게 드러난다.
조금 더 복잡한 예로, 급수
∑
n
=
m
∞
1
n
p
0
(
ln
n
)
p
1
(
ln
ln
n
)
p
2
⋯
(
ln
ln
⋯
ln
⏟
k
n
)
p
k
{\displaystyle \sum _{n=m}^{\infty }{\frac {1}{n^{p_{0}}(\ln n)^{p_{1}}(\ln \ln n)^{p_{2}}\cdots (\underbrace {\ln \ln \cdots \ln } _{k}n)^{p_{k}}}}}
가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1이 아닌 지수가 있고 처음으로 오는 1이 아닌 지수가 1보다 크다는 것이다. 즉 급수는 사전식 순서대로 (p 0 , ..., p k ) > (1, ..., 1) 일 때 수렴, (p 0 , ..., p k ) ≤ (1, ..., 1) 일 때 발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