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래가죽채찍말[3](학명: Ascoseira mirabilis)은 갈조류의 일종이며, 해조류이다.[4][5]타래가죽채찍말속(Ascoseira)의 유일종이자 모식종이며, 크기가 큰 유조직 대형조류의 일종으로 남극해에서 발견되는 토착종이다.[6]타래가죽채찍말목(Ascoseirales)에 속하는 유일종이다.[4][7] 이 갈조류는 수심 3~15m 아래의 조하대에서 자란다.[8]
↑Петров, Ю. Е. (1964). “К систематике класса Cyclosporophyceae (Phaeophyta)”. 《Nov. Sist. Nizsh. Rast. (Bot. Inst. Akad. Bauk SSSR》 1964: 146–149.
↑Skottsberg, C. (1907). 〈Zur Kenntnis der subantarktischen und antarktischen Meeresalgen. I. Phaeophyceen〉. 《Wissenschaftliche Ergebnisse der Schwedischen Südpolar-Expedition 1901-1903 unter Leitung von Dr. Otto Nordenskjöld. (Eds.)》. Vol. 4, fasc. 6. Stockholm. 1–172쪽.
↑ 가나Kirkman, Hugh; Lüning, Klaus; Yarish, Charles (1990). 《Seaweeds: their environment, biogeography, and ecophysiology》. New York: Wiley. ISBN0-471-62434-9.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Guiry, M.D.; G.M. Guiry (2009).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09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0월 15일에 확인함.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Raven, John A.; Douglas, Susan J.; Larkum, Anthony W. D.; Larkum, A. W. D. (2003). 《Photosynthesis in algae》. Kluwer Academic. ISBN0-7923-6333-7.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Wiencke, C.; K. Bischof (2012). “Seaweeds and Their Communities in Polar Regions”. 《Seaweed Biology, Ecological Studies》 (Springer-Verlag) 219. doi:10.1007/978-3-642-28451-9_13.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Gómez, I.; Wiencke, C.; Thomas, D.N. (1996년 5월 1일). “Variations in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Antarctic marine brown alga in relation to thallus age and size”. 《European Journal of Phycology》 31 (2): 167–172. doi:10.1080/09670269600651341.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