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 | 주식회사 |
---|---|
창립 | 1991년 3월 29일 2015년 10월 22일 2019년 11월 22일 |
창립자 | 박병엽 |
시장 정보 | 비상장 |
산업 분야 | 특허 라이센스 사업부, a/s사업, 브랜드 대여사업 |
서비스 | 이동전화기 제조업 |
해체 | 2016년 3월 1일 2017년 10월 12일 |
본사 소재지 | |
핵심 인물 | 김병진 (대표이사) |
제품 | 휴대전화 |
매출액 | 574,068,651,405원 (2014) |
영업이익 | -153,668,401,619원 (2014) |
-256,457,348,770원 (2014) | |
자산총액 | 268,269,496,688원 (2014) |
종업원 수 | 30명 (2017년 12월) |
모기업 | 쏠리드-옵티스 (2015년 10월 16일 ~ 2017년 10월 27일) 케이앤에이홀딩스 (2017년 10월 27일 ~ ) |
자본금 | 264,084,832,000원 (2014) |
웹사이트 | 팬택 공식 홈패이지 |
1997년부터 2017년까지 휴대전화 제조회사였으며, 국내에서는 베가(VEGA) 및 스카이(SKY), 큐리텔(Curitel) 라는 브랜드로, 해외에서는 '팬택(Pantech)'으로 휴대폰을 판매하였다.
1991년 설립되었으며, 초기에는 주로 무선호출기를 생산했다. 1997년 휴대전화 생산을 시작했으며, 증권거래소에도 상장되었다. 2005년에는 SK텔레텍을 계열사로 편입하고, 사명을 SKY텔레텍으로 변경시켰다. SK텔레텍은 그해 말에 팬택에 흡수통합되었다. 2009년 12월 31일자에는 팬택&큐리텔과도 합병하였다.
2009년 945만대의 휴대폰을 공급해 매출액 2조1320억원, 영업이익 1480억원을 달성했으며[1], 2010년도 매출은 2조775억원, 영업 이익은 839억원이었다. 2011년 4월 기준으로 대한민국 시장에서 휴대전화를 세 번째로 많이 판매한다.[2] 2015년 10월 16일 쏠리드-옵티스에 인수되었다.
2017년 5월 11일 팬택은 휴대전화 사업 잠정 중단을 선언하고 iot분야에 집중하기로 발표하였다. 하지만 2017년 10월 11일 iot사업마저 우리넷에 매각되고 말았다.
2017년 10월 27일 쏠리드는 팬택을 케이앤에이홀딩스에 1000만원에 매각하였다. 그와 동시에 케이앤에이홀딩스는 팬택을 재정비하여 신규 사업을 모색하고 휴대폰 AS사업과 특허수익화 사업 등을 펼치겠다고 발표했다. 이후 특허괴물 팬텍으로 바뀌었다.
팬택은 SK텔레텍 인수로 자금난에 빠져 2006년 12월 1차 워크아웃에 들어가게 된다. 이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팬택은 전체인력의 35%를, 임원의 60%를 감원하며 구조조정을 단행하게 된다. 수출국을 50개국에서 2개국으로 줄여 선택과 집중을 꾀하고 있으며, 연구개발에 1조 5백억원을 썼다. 이러한 해결방안들이 빠르게 모여 실행된 덕분에, 팬택은 2007년 3분기부터 2011년 16분기 연속으로 영업 이익을 내고 있으며, 2008년도에는 전체 매출액 2조 2천억원에 영업이익 2천 2백억원을 달성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3] 2011년 12월, 팬택은 5년만에 워크아웃을 졸업했다.
그러나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삼성, 애플 등의 과점체제로 굳어진 스마트폰 시장하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또한 금융권에서 1천446억원가량의 신규자금 지원이 이뤄졌지만 브랜드 열세와 규제강화에 따른 매출 감소를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2014년 3월, 2차 워크아웃을 신청한다.[4] 그러나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팬택 기기 추가 구입 거부와 채권단의 조건 미달성으로 인해 결국 그해 8월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하게 되었다. 팬택은 법정관리가 진행 중이다 하더라도 더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약속하며 신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5]
2014년 11월 팬택에 대한 매각 입찰이 진행되었으나 팬택 인수 의향서 제출 마감 시한인 21일 오후 3시까지 관련 서류를 제출한 곳이 없었다. 추가 입찰을 진행해 다시 한 번 인수 의향서를 법원에 제출 할 수도 있다. 이전에 인수 의사를 밝혔던 기업을 찾아가 개별 협상을 벌여 수의계약으로 팬택을 팔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는 팬택의 자산을 분할해 파는 청산 작업에 들어갈 수도 있다.[6]
2015년 6월 16일, 옵티스 컨소시엄과 M&A 계약을 체결하였으나, 팬택의 부채가 1조원에 달해 안정적으로 계약을 이어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7] 2015년 7월 16일, 옵티스 컨소시엄과 M&A 계약이 완료될 예정이다. 하지만 최대 주주인 스카이레이크 인베스트먼트에서 이에 반대하며, 옵티스에 투자한 모든 자산을 회수하겠다고 밝혔다. 옵티스는 다른 투자자를 찾고 있지만, 앞으로 기업을 유지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8]
2015년 7월 17일 팬택의 김포 공장과 전국 애프터서비스(AS) 센터를 제외한 특허, 기술 인력을 400억원에 쏠리드-옵티스 컨소시엄으로의 인수 계약이 체결되었다.[9] 케이앤에이홀딩스는 팬택을 재정비하여 신규 사업을 모색하고 휴대폰 AS사업과 특허수익화 사업 등을 펼치겠다고 하지만, 결국 우리가 아는 휴대전화 제조사로서의 팬택은 사라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2019년 1월 14일 팬택과 착한텔레콤간의 계약사실이 알려져 휴대전화 제조사로서의 팬택이 부활을 알렸다.
2014년 8월 기업회생절차 (법정관리) 신청 이후, 10달만인 2015년 5월 26일, 적합한 인수대상자를 찾지 못한 팬택이 스스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기업회생절차 폐지를 선언했다.
아래는 팬택 법률상 관리인 "이준우" 대표가 발표한 공식 사과문이다.
주식회사 팬택은 2014년 8월 19일 기업회생절차를 개시한 이후, 조속한 경영정상화를 위해 모든 구성원이 분골쇄신의 자세로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였습니다.
어려운 경영상황을 타개하고자 월급을 자진 반납하고 휴직을 실시하는 등 비용 절감을 위해 최선을 다했으며, M&A를 통한 경영정상화를 목표로 최소한의 기업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특히, 금번 위기를 타개해 생존할 수 있다면 수만 명의 직간접 고용 효과, 국내 이동통신 시장의 경쟁력 강화뿐 아니라 국가 미래 성장산업 발전과 창조경제에 기여하겠다는 스스로의 믿음과 각오로 마지막 순간까지 희망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지난 10개월간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팬택의 기업 가치를 제대로 평가해 주는 적합한 인수대상자를 찾지 못하였습니다. 이에 팬택은 더 이상 기업으로서 그 책임과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어 기업회생절차 폐지 신청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주주, 채권단 및 협력업체를 포함한 이해 관계자 여러분들께 머리를 조아려 사죄의 말씀을 올립니다.
특히, 그 동안 팬택 제품을 사랑해 주시고 성원을 보내주신 고객 여러분들께 감사 드리며 석고대죄하는 심정으로 용서를 구합니다. 향후의 일정을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저희 제품을 사용하시는 고객분들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지막 순간까지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팬택을 사랑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5. 05. 26
— ㈜팬택 법률상 관리인 대표이사 이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