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 없는 비접합자[1](zero width non-joiner, ZWNJ)는 합자를 사용하는 문자 체계의 컴퓨터화에서 사용되는 제어 문자이다. 본래라면 합자로 연결되는 두 개의 문자 사이에 ZWNJ가 놓여지면, 그 두 개의 문자는 각각 말미형 및 두자형으로 표시된다. 공백 문자를 사이에 두는 것으로도 같은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공백보다도 양자의 문자를 가까이 하고 싶은, 또는 단어와 형태소를 연결하고 싶은 경우에 ZWNJ가 사용된다.
ZWNJ는 유니코드에서는 U+200C zero width non-joiner (HTML: ‌
‌
)로 부호회되고 있다.
언어에 따라서는 문자열이 올바른 타이포그래피의 형태를 지정하기 위해서 ZWNJ가 필요하다.
옛날에 ASCII의 제어 문자인 장치경계 할당이 이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올바른 사용 (ZWNJ 사용) | 틀림 | 의미 | ||||
---|---|---|---|---|---|---|
표시 | 화면 | 코드 | 표시 | 화면 | 코드 | |
میخواهم | می‌خواهم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면): می‌خواهم |
میخواهم | میخواهم
|
페르시아어 “나는 원한다” | ||
עֲוֹנֹת | עֲו‌ֹנֹת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면): עֲו‌נֹת |
עֲוֹנֹת | עֲוֹנֹת
|
성서히브리어 ‘죄’(복수형) | ||
Auflage | Auf‌lage
|
Auflage | Auflage
|
독일어 ‘(책의) 판’ (복합어: "auf"+"Lage") | ||
Brotzeit | Brot‌zeit
|
Brotzeit | Brotzeit
|
독일어 방언 ‘간식’ (복합어 "Brot" 빵 + "Zeit" 시간), 프락투어형 | ||
deafly | deaf‌ly
|
deafly | deafly
|
"dea"+"fly" 의 복합형이 아닌 "deaf"의 부사형인 것을 나타낸다 | ||
श्रीमान्को | श्रीमान्‌को
|
श्रीमान्को | श्रीमान्को
|
네팔어 ‘남편의’ 또는 ‘훌륭한 사람의’ |
성서히브리어의 예에서는 니크다의 호람의 점의 위치가 바브 ⟨ו⟩ 의 왼쪽에 오는 것이 올바르다. 만약 점이 ⟨ו⟩ 의 위에 위치시키면, ⟨עוֹנוֹת⟩ ‘계절’과 헷갈리기 쉽다. 현대 히브리어에서는 바브 뒤에 호람을 둘 이유는 없으며, 합자는 필요 없기에 현대 히브리어의 조판에서 ZWNJ가 필요한 경우는 드물다.
독일어의 타이포그래피에서는 합자가 복합어의 구성요소의 한계를 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독일어의 처음의 예에서는 접두사 ‘Auf-’는 후속하는 단어로부터 분리해서, ‘fl’이 합자가 되지 않게 해야한다. 마찬가지로 영어에서도 합자는 형태소 경계를 넘어서는 안된다[2][3]. 예를 들면 ‘fly’나 ‘fish’는 어떤 단어 속에서는 형태소이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dayfly’의 ‘fl’이나 ‘catfish’의 ‘fi’는 합자로 해야하지만, ‘deafly’의 ‘fl’이나 ‘selfish’의 ‘fi’에서 합자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페르시아어에서는 ZWNJ를 접두사 · 접미사 · 복합어에서 광범위로 사용한다[4]. 사이에 공백을 넣으면 복합어가 아닌 두 개의 단어로 헷갈리기 쉬어지기에 ZWNJ를 사용한다.
브라흐미 문자군에서는 비라마가 붙은 자음 뒤 또는 종속 모음 앞에 ZWNJ를 두는 것으로 문자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데바나가리에서는 क् 와 ष 는 보통은 결합해서 क्ष 가 되지만, ZWNJ를 사이에 끼우면(क्‌ष
) क्ष처럼 표시된다.
칸나다 문자에서는 ನ್ 와 ನ 는 결합해서 ನ್ನ 가 되지만, ZWNJ를 양자의 사이에 삽입하면, ನ್ನ 로 표시된다. 주로 칸나다어의 단어를 칸나다 문자로 표기할 때에 이 방식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페이스북은 ಫೇಸ್ಬುಕ್으로 쓰인다(다만 ಫೇಸ್ಬುಕ್ 로 쓸 수도 있다). ರಾಜ್ಕುಮಾರ್(라지쿠마)나 ರಾಮ್ಗೊಪಾಲ್ 도 ZWNJ를 필요로 하는 고유명사의 예이다.
그리고 벵골 문자도 ক্와 ষ가 합쳐져서 ক্ষ가 된다. 이것도 zwnj를 필요로 하는 문자이다.
ZWNJ가 직접 입력 가능한 키보드를 위한 심볼은 ISO/IEC 9995-7:2009의 추보1(2012) ‘정보기술 - 텍스트 및 오피스 시스템의 키보드 배열 -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심볼’의 심볼 번호 81, 및 IEC 60417 ‘기구 · 장치용도기호’의 IEC 60417-6177-2 로 표준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