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페이어군 | |
---|---|
지리적 분포 | 미크로네시아 |
계통적 분류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미크로네시아어군 핵심 미크로네시아어군 추크폰페이어군 폰페이어군 |
글로톨로그 | pona1248[1] |
폰페이어군(영어: Pohnpeic languages, Ponapeic)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미크로네시아어군에 속하는 추크폰페이어군의 하위 어군이다.[2] 폰페이어군 언어들은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폰페이주에서 주로 사용된다.
폰페이어군은 친연 관계가 가까운 추크어군과 구별되는 독자적으로 발달한 혁신 사항들이 있다. 그 중 하나는 비음 대체로, 겹자음의 첫 요소가 조음 위치가 같은 비음이 되는 것이다.[4] 이러한 변화의 예시로는 추크폰페이조어 */kkaŋ/ '날카롭다'가 모킬어에서는 /iŋkɔŋ/이지만 추크어에서는 /kken/이 된 것이 있다.[5]
오세아니아조어 | *mp | *mp,ŋp | *p | *m | *m,ŋm | *k | *ŋk | *ŋ | *y | *w | *t | *s,nj | *ns,j | *j | *nt,nd | *d,R | *l | *n | *ɲ | |
---|---|---|---|---|---|---|---|---|---|---|---|---|---|---|---|---|---|---|---|---|
미크로네시아조어 | *p | *pʷ | *f | *m | *mʷ | *k | *x | *ŋ | *y | *w | *t | *T | *s | *S | *Z | *c | *r | *l | *n | *ɲ |
추크폰페이조어 | *p | *pʷ | *f | *m | *mʷ | *k | *∅,r3 | *ŋ | *y | *w | *t | *j | *t | *t | ∅ | *c | *r | *l | *n | *ɲ |
폰페이조어 | *p1 | *pʷ | *p, ∅2 | *m | *mʷ | *k | *∅,r3 | *ŋ | *y | *w | *j,∅1{_i,u,e4} | *j | *t̻ | *t̻ | ∅ | *c | *r | *l | *n | *∅,n{고모음 V_} |
1 폰페이어군에서는 겹자음을 조음 위치가 같은 비음-장애음 연쇄로 실현한다.
2 /i/ 앞에서 종종
3 /a/ 앞
4 미크로네시아조어 *e 앞에서는 산발적으로 *∅에 대응된다.
폰페이조어 | 한국어 해석 | 오늘날의 대응형 |
---|---|---|
*cana-k,cana-ko | 걸다, 걸리다 | 폰페이어 tɛnɛ-k, 모킬어 sɔnɔ |
*palia | 모레 | 폰페이어 pali, 모킬어 pali |
*payipayi | 성게 | 폰페이어 pɛypɛy, 모킬어 pɔypɔy |
*wara | 목 | 폰페이어 wɛrɛ '그의 목', 모킬어 wɔ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