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eranakan/Baba Nyonya / 峇峇娘惹 | |
![]() 프라나칸 결혼식 | |
총인구 | |
약 800만 명[1] | |
지역 |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2], 태국[3] | |
언어 | |
말레이어군 언어들, 민남어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한어, 베타위어, 남부 태국어 등 | |
종교 | |
대승불교, 크리스트교, 유교, 도교, 수니 이슬람 등 | |
민족계통 |
프라나칸 | |||||||||||
중국어 | |||||||||||
---|---|---|---|---|---|---|---|---|---|---|---|
중국어 | 峇峇娘惹 | ||||||||||
| |||||||||||
말레이어 | |||||||||||
말레이어 | Peranakan Tionghoa-Selat Kiau-Seng |
프라나칸(말레이어: Peranakan) 혹은 페라나칸은 15세기에서 17세기경 중국 남부지방에서 말레이 제도와 태국 남부지방으로 이주한 한족의 후손이다.[4] 말레이시아의 프라나칸은 자기 자신을 바바뇨냐라고 지칭하는데, 바바는 남성, 뇨냐는 여성을 가리키는 뜻으로, 민남어 峇峇娘惹(bā-bā-nō͘-niâ)에서 유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