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3-Diethylamino-1-[2-(trifluoromethyl)phenothiazin-10-yl]-propan-1-on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30223-48-4 27312-93-2 (hydrochloride) |
ATC 코드 | none |
PubChem | 161562 |
ChemSpider | 141910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20H21F3N2OS |
분자량 | ? |
유의어 | Fluoracizine; Fluoracyzine; Fluoracisine; Ftoracizin; Ftoracizine; Phthoracizin[1][2]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 |
생물학적 반감기 | ? |
배출 | ? |
처방 주의사항 | |
임부투여안전성 | ?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Oral, intramuscular injection |
플루아시진 (fluacizine)은 프토라지신(Phtorazisin)의 상표명으로 러시아에서 판매되기도 하고 있는 페노티아진 (phenothiazine) 계열의 삼환계 항우울제 (TCA)이다.[1][2][3] 플루아시진은 다른 페노티아진과 달리 항정신병약물이 아니어서, 실제로 항정신병 약물, 레세르핀, 테트라베나진과 같은 항도파민제에 의해 유발된 강직증 및 추체외로 증상을 해소시키기도 하지만, 암페타민으로 인한 상동증 (stereotypy)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3]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항히스타민제, 항콜린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6][7][3] 이 약은 1960년대에 개발되어 1970년대에 시판되었다.[1][4] 플루아시진은 클로라시진의 트리플루오로메틸 유사체이다.[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