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기 목록

한국의 기 목록에서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태극기와 같은 주요 기 및 한국의 몇몇 역사적인 기들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람홍색공화국기를 비롯해 주요 기와 역사적 기들을 다룬다. 대한민국의 여러 관기(官旗) 및 각 행정구역의 도·시기는 모두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 제정되었다.

대한민국

[편집]

국기

[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2011년 - 현재 국기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극의 공식 색상이 변경되었다.[1][2]
1997년 - 2011년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극의 공식 색상이 변경되었다.
1984년 - 1997년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극의 공식 색상이 변경되었다.
1949년 - 1984년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금과 같이 3·4·5·6괘로 구성되어 있다.
1948년 - 1949년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금과는 달리 3·5·4·6괘로 구성되어 있다.

대통령기

[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1949년[3] - 현재 대통령 파란색 바탕에 봉황 한 쌍이 마주 보는 가운데 무궁화가 있다.

헌법기관

[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2016년[4] - 현재 정부 태극을 형상화한 심볼과 '대한민국정부'라는 문자열이 있다.
1949년 (제정) -
1988년 (대통령 공고)[5] -
2016년 (폐지)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정부'라는 글자가 압축되어 있다.
1988년 - 현재 국무총리 무궁화가 무궁화 속에 있다.
2014년 - 현재[6] 국회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국회'라는 글자가 압축되어 있다.
1948년 - 2014년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國'이라는 한자가 있다.
1978년[7] - 현재 법원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법원'이라는 글자가 압축되어 있다.
2017년 - 현재[8] 헌법재판소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헌법'이라는 글자가 압축되어 있다.
1988년 - 2017년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憲'이라는 한자가 있다.
2018년 -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선거'라는 글자가 압축되어 있다.
? - 2018년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選'이라는 한자가 있다.

군기

[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1946년 - 현재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은 태극기와 합쳐 전쟁기로 사용한다.
1955년 - 현재 대한민국 해군 함정의 선수기로도 사용되며, 선미기로는 태극기를 사용한다.
1952년 - 현재 대한민국 해병대
1952년 - 현재 대한민국 공군
1968년 - 현재 대한민국 예비군
대한민국 국방부

지방자치단체

[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편집]

국기

[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1948년 -1992년 국기 1948년 7월 10일부터 태극기를 내리고 인공기를 올려 지금까지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식 국기가 되었다.
1992년 - 현재 이전보다 원과 별의 크기가 커졌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부기관

[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1948년 - 현재 조선로동당의 기 사회주의와 인민군을 뜻하는 망치와 붓과 곡괭이가 있다.
1946년 - 현재 김일성-김정일주의청년동맹의 기
1945년 - 현재 조선사회주의녀성동맹의 기
1948년 - 2002년 조선로동당의 최고사령부기
2002년 - 2022년
2018년 -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무위원장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기

[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1948년 육군기 조선인민군 1948년 국장과 깃발.

1948년 - 1961년 조선인민군 1948년의 두 번째 국장과 깃발 .
1961년 - 1992년 조선인민군
1992년 - 1993년 조선인민군.
2023년 - 현재 조선인민군.
1993년 - 2023년 조선인민군 륙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1997년 - 2011년 조선인민군 륙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2012년 - 2023년 조선인민군 륙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1993년 - 2023년 조선인민군 륙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2023년 - 현재 조선인민군 륙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2023년 - 현재 조선인민군 륙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1997년 - 2011년 해군기 조선인민군 해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1993년 - 2023년 조선인민군 해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2012년 - 2023년 조선인민군 해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1993년 - 2023년 조선인민군 해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2023년 - 현재 조선인민군 해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2023년 - 현재 조선인민군 해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1948년 - 현재 근위대기 조선인민군 해군의 근위대 기이다.
1993년 - 2023년 공군기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1997년 - 2011년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2012년 - 2023년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1993년 - 2023년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2023년 - 현재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2023년 - 현재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1948년 - 현재 군함기 조선인민군 해군의 군함에 게양하는 군함기이다.
1948년 - 현재 북한의 해군 잭
2018년 - 2020년 전략군기 조선인민군 전략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2018년 - 2020년 조선인민군 전략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2023년 - 현재 조선인민군 전략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2023년 - 현재 조선인민군 전략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2023년 - 현재 미사일총국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싸일총국이 사용하는 군기다.
2018년 - 2020년 특수부대기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2018년 - 2020년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2023년 - 현재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2023년 - 현재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2007년 - 2023년 로농적위군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로농적위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2007년 - 202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로농적위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2023년 - 현재 로농적위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2023년 - 현재 로농적위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사용기간 쓰임 설명
한반도의 국기 1989년 - 현재 국제대회에서 남북 단일팀이나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동시에 입장할 때 사용하며 기타 남북공동의 대회나 행사에 사용 하얀 바탕에 한반도의 모양을 그려 넣고 있으며 버전에 따라 울릉도독도가 포함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한반도의 국기
한반도의 국기

역사

[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1882년 국기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당시 이응준이 고안한 초기의 태극기이며, 미국에서 제작한 《해양국가들의 국기》라는 제목의 책에도 수록되었다.[9]
1882년 1882년에 박영효가 고안한 초기의 태극기이다. 1883년에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1888년 데니 (Owen N. Denny)에게 고종이 하사한 깃발
1911년 이전 1911년 The International Geography라는 책에 실린 태극기
1884년 1884년에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에서 제작한 태극기이다.
1899년 1899년 개정된 《해양국가들의 국기》 제6판에 국기로 실린 태극기
1919년 3·1 운동 당시 태극기 3·1 운동 당시 사용한 태극기 중 하나로, 평양에 있던 숭실학교에서 만들었다.[10]
1919년 - 1945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기 1942년 6월 29일 국기로 공식 채택되기 이전까지는 임시 정부의 정부기로 사용되었다.
일제강점기 군기 한국독립군의 부대장이 보관하고 있던 진군기이다.
1945년 - 1946년 전후 한국 전역의 인민위원회에서 사용.
1945년 - 1948년 해방 당시의 태극기 1945년 일본제국미국한데 항복당했다는 소식들었음으로 한민족한반도에서 광복을 맞이할 때 3,5,4,6,괘로 구성된 태극기를 제작했으며 구, 서울역광장앞에 해방을 맞이하였으나,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3·5·4·6괘로 특이한 점이 있다. 조선건국준비위원회조선인민공화국의 국기이기도 하였다.
1946년 - 1948년 해방 후 북조선인민위원회국기
중앙의 태극의 4괘로 구성되어 있으나, 3·5·4·6괘로 특이한 점이 있다. 남한에서 태극기를 구입하여 경교장에서 김구를 만난 이후 국기를 빌려서 북한에서 사용하였으나, 1948년 남북연석회의 때 김구에게 태극기를 반납했다.

조선시대 및 그 이전의 기

[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군기 (5세기 중엽) 고구려 군기
군기 (5세기 말)
918년 - 1392년 고려군주 봉기 고려 시대에 군주의 행차 때 사용된 의장기이다.
918년 - 1392년 고려군주 마기 고려 시대에 군주의 행차 때 사용된 의장기이다. 해마기라고도 불린다. 해마기는 동방의 수를 상징한다.[11]
918년 - 1392년 고려군주 상기 고려 시대에 군주의 행차 때 사용된 의장기이다. 상기는 북방의 수를 상징한다.[12]
1392년 - 1882년 태극팔괘도 조선 군주의 어기이며, 태극기가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왕실에서 국기로서의 사용도 겸하고 있었다.
조선시대 대장기 조선시대 군기의 하나로서, 수자기(帥字旗) 또는 수기(帥旗)라고 한다. 조선 시대 군영의 진중에 대장의 표식으로 내걸렸다. 모양은 누른 색에 검은 색 글씨로 장수 수(帥)자가 새겨져 있으며, 기 주변에 드림(기의 장식)이 달려 있는 것도 있다. 특히 이 대장기는 신미양요 때에 미군들이 가져갔었다
조선시대 군기 조선시대 군기의 하나로서, 좌독기(坐纛旗) 또는 둑기라고 한다. 행진할 때 우두머리 장수인 주장(主將)의 뒤에 세우고 멈추면 군사를 지휘하는 장수가 올라서서 명령하던 장대(將臺)의 앞 왼편에 세웠던 사각형의 깃발이다. 태극(太極), 낙서(洛書), 문왕 후천 팔괘(文王後天八卦)로 구성된다.
1897년 ~ 1907년 대한제국 황제기
1908년 ~ 1910년 대한제국 황제기
1908년 ~ 1910년 대한제국 태황제기
1908년 ~ 1910년 대한제국 황후기
1908년 ~ 1910년 대한제국 황태자기
1908년 ~ 1910년 대한제국 황태자비기
1908년 ~ 1910년 대한제국 친왕기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태극기표준색도지정 (총무처 고시 제1997-61호)
  2. 태극기 국제표준색 지정
  3. “보관된 사본”.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21일에 확인함. 
  4. “정부상징 67년 만에 교체로, 정부기(旗)도 29일부터 바뀐다”. 2017년 5월 20일에 확인함. 
  5. “보관된 사본”. 2016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21일에 확인함. 
  6. “한글로 변경된 국회기”. 2019년 10월 10일에 확인함. 
  7. 「법원기에관한내규」 대법원내규 제78호, 1978년 8월 17일 시행
  8. “헌법재판소에 펄럭이는 한글 깃발”. 2019년 10월 10일에 확인함. 
  9. '최초 태극기' 공식기록물 청주 온다”. 2019년 8월 26일에 확인함. 
  10. “대구교육박물관, 3·1운동 당시 사용된 태극기 500장 제작해 배부”. 2019년 2월 26일. 2019년 4월 22일에 확인함. 
  11. “전쟁기념관 전시물 자료 홈페이지 - 해마기”. 2016년 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8일에 확인함. 
  12. “전쟁기념관 전시물 자료 홈페이지 - 상기”.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