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茂淑 | |
---|---|
작가 정보 | |
출생 | 1918년 10월 25일![]() |
사망 | 1993년 1월 30일![]() | (74세)
국적 | ![]() |
언어 | 한국어 |
직업 | 소설가, 삽화가, 극작가, 수필가 |
학력 | 경상남도 부산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 |
종교 | 천주교(세례명 : 클라라) |
필명 | 호(號)는 향정(香庭) |
활동기간 | 1940년 ~ 1993년 |
장르 | 소설, 희곡, 수필 |
부모 | 한석명(부), 장숙명(모) |
배우자 | 김진흥 |
자녀 | 슬하 2남 2녀 장녀 김영기(金榮起) 장남 김호기(金虎起) 차녀 김현기(金賢起) 차남 김용기(金龍起) |
친지 | 한복(오빠) 한말숙(누이동생) 황병기(제부) 황준묵(이질) |
웹사이트 | 한무숙문학관 |
한무숙(韓戊淑, 1918년 10월 25일 ~ 1993년 1월 30일)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삽화가, 극작가, 수필가이다.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호는 향정(香庭)이다.
일제강점기 말기인 1942년에 장편 《등불 드는 여인》으로 데뷔하고 희곡도 당선되어 문인으로 등단했다. 1948년에 장편소설 《역사는 흐른다》를 발표하고 다수의 단편을 집필했다. 첫 창작집은 1956년에 발간된 《월훈》이다. 동생인 한말숙도 소설가로 데뷔하여 자매 작가로 활동하였다.
장편 작품으로는 한국방송 대하드라마로 각색되어 유명해진 《역사는 흐른다》 외에 《빛의 계단》, 《석류나무집 이야기》, 《만남》 등이 있다. 정약용의 삶을 주제로 한 《만남》에서 보듯 한국 고유의 전통과 여인의 한에 대한 관심이 특징으로, 동양적 작가라는 평가를 받았다. 수필집으로는 《열길 물속은 알아도》, 《이 외로운 만남의 축복》, 《내 마음에 뜬 달》 등이 있다.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부회장과 한국여류문학인회 중앙위원 등을 맡았다. 1958년에 단편 〈감정이 있는 심연〉으로 자유문학상을 수상했고, 신사임당상(1973)과 3·1문화상(1989) , 예술원상(1991) 등을 차례로 수상했다.
사후에 남편 김진흥(金振興)이 서울 종로구 명륜동의 고택을 개조하여 한무숙문학관으로 개관했다.[1] 한무숙을 기념한 한무숙문학상도 제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