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 |
---|---|
지정 번호 | 14 |
지정일 | 1967년 1월 16일 |
전승지 | 충청남도 전역 |
전승자 | 방연옥 |
충청남도의 무형문화재 | |
---|---|
지정 번호 | 1 |
지정일 | 1974년 8월 31일 |
전승지 | 충남 서천군 한산면 동산리 458 |
한산모시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역에서 생산되는 고급 모시로 한산모시를 짜는 기술은 1967년 전통섬유 부문 중 가장 처음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됐다. 2011년 11월 28일, 한산모시짜기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1] 기능보유자는 방연옥이 있다.
한산지방의 구전에 따르면 삼국시대 때로 한 노인이 건지산에 약초를 캐러 올라갔다가 처음으로 모시풀을 발견하여 이를 재배하여 모시를 짜기 시작했다고 한다. 조선시대 예종때에는 한산지역의 생저를 토산품 공물로 지정하였다. 18~19세기에는 저산팔읍에서 생산된 모시가 많이 유통되었다.
세모시는 머리카락보다 곱게 짜여진 모시로 삼국시대에는 30~40승, 고려시대에는 20승, 조선시대에는 15승까지 세밀한 모시가 짜여졌다. 한산의 화양면이 중심이 되는 생산지이다. 현재 최고로 곱게 짠 것은 12승 모시이다. 광폭세포는 폭이 넓은 모시로 현재 한산지역에서 62cm까지 제직하고 있다. 저포교직은 모시와 다른 천연섬유와 함께 섞어 짠 옷감으로 저마교직, 사저교직, 면저교직 등이 있다. 면저교직은 춘사라고 부르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