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에서 행간 주석(行間註釋, 영어: interlinear gloss)은 예문과 그 의역의 행간에 형태소마다 붙여지는 축차번역(逐次飜譯)을 가리킨다. 주해(註解) 또는 주석(註釋)이라고도 말한다.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와 라이프치히 대학의 언어학 부문에 의해 다음 10가지 약속이 제안되었다.
- 예문과 행간주석은 각 어휘마다 왼쪽으로 정렬한다.
- 예문과 행간주석에서 형태소의 경계를 붙임표(-)로 표시한다. 예문과 행간주석에서 접어의 경계는 등호로 표시한다.
- 형태적으로 자립하지 않지만 음운적으로는 독자의 말인 요소는, 반각공백과 하이픈으로 표시해도 좋다.
- 행간주석에서 문법적 형태소는 약호(略號)로 표시한다. 약호는 대문자(특히 작은 대문자)로 표기한다. 번역도착어에 대응하는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그것을 사용하여 번역해도 좋다.
- 예문의 한 요소가 행간주석에서 복수의 요소에 대응하는 경우, 행간주석의 축차번역(逐次飜譯)을 마침표로 나눈다.
- 예문의 한 형태소가 번역도착어에서 복수의 요소로밖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축차번역을 밑줄문자(_)로 나눈다.
- 예문의 한 형태소가 명백히 구별되는 복수의 의미기능을 가지는 경우, 그 축차번역을 세미콜론으로 나누어도 좋다.
- 예문에서 복수의 형태소를 나누지 않고 제시하고 싶은 경우, 행간주석에서는 그 축차번역을 콜론으로 나누어도 좋다.
- 예문의 한 형태소가 다른 형태소의 연결과 관계 없는 교체에 따라 의미기능을 나타내는 경우, 그 축차번역을 백슬래쉬로 나누어도 좋다.
- 동작주(動作主)의 논항과 피동작주의 논항의 인칭 등을 동시에 나타내는 굴절접사가 있는 경우, 그 축차번역에 「>」를 써도 좋다. 「>」 앞에 동작주적 논항을, 뒤에 피동작주적 논항을 나타낸다.
- 인칭과 수를 나타내는 형태소가 이 순서로 나타나는 경우, 마침표로 나누지 않는다.
- 제로요소에 대응하는 축차번역은 대괄호로 둘러싼다. 혹은, 예문에 제로기호로 표시한다.
- 내재석인 문법범주(문법적 성 따위)를 축차번역하는 경우, 소괄호로 둘러싼다.
-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요소(접주사 따위)는 같은 행간주석을 반복한다. 혹은, 한 쪽에 특별한 레이블을 붙인다.
- 접요사는 「< >」로 둘러싼다.
- 중첩은 물결표로 나눈다.
다음은 행간주석에서 쓰이는 약호의 일부의 목록이다.
Leipzig Glossing Rules
|
Oxford Handbooks Online[1]
|
영어
|
의미
|
1
|
first person
|
1인칭
|
2
|
second person
|
2인칭
|
3
|
third person
|
3인칭
|
a
|
agent-like argument of canonical transitive verb
|
표준적인 타동사의 동작주적 논항
|
abs
|
absolutive
|
절대격
|
acc
|
accusative
|
대격
|
actfoc
|
-
|
Actor focus
|
행위자 초점
|
ad
|
-
|
adessive (en)
|
처격
|
all
|
allative
|
향격
|
art
|
article
|
관사
|
ben
|
benefactive
|
수혜자격
|
caus
|
causative
|
사역형; 사역동사; 원인격
|
circ
|
-
|
circumfix
|
접주사
|
clf
|
classifier
|
분류사
|
com
|
comitative
|
수반격
|
cond
|
conditional
|
조건…
|
-
|
conj
|
conjunctive
|
접속법; 접속사
|
|
conn
|
연결사
|
cop
|
copula
|
계사
|
cvb
|
converb (en)
|
부동사(副動詞)
|
dat
|
dative
|
여격
|
dem
|
demonstrative
|
지시사
|
det
|
determiner
|
한정사
|
du
|
dual
|
쌍수
|
erg
|
ergative
|
능격
|
excl
|
exclusive
|
제외
|
f
|
feminine
|
여성
|
foc
|
focus
|
초점
|
gen
|
genitive
|
속격
|
imp
|
imperative
|
명령
|
incl
|
inclusive
|
포함
|
ind
|
indicative
|
직설법
|
inf
|
infinitive
|
부정사(不定詞)
|
ins
|
instrumental
|
구격
|
-
|
inter
|
interrogative
|
의문사, 의문…
|
ipfv
|
imperfective
|
미완료상
|
irr
|
irrealis
|
불확정법, 비현실상
|
loc
|
locative
|
처소격
|
neg
|
negative
|
부정사
|
nmlz
|
nominalizer/nominalization
|
명사화
|
nom
|
nominative
|
주격
|
m
|
masculine
|
남성
|
obj
|
object
|
목적어
|
obl
|
oblique
|
사격
|
p
|
patient-like argument of canonical transitive verb
|
표준적인 타동사의 피동작주적 논항
|
pass
|
passive
|
수동태; 수동형; 수동태
|
pfv
|
perfective
|
완료상
|
pl
|
plural
|
복수
|
poss
|
possessive
|
소유격
|
pred
|
predicative (en)
|
술사; 서술어
|
pret
|
-
|
preterite
|
과거
|
prf
|
perfect
|
완료상
|
prog
|
progressive
|
진행형; 진행상
|
proh
|
prohibitive
|
금지(법)
|
prs
|
present
|
현재
|
pst
|
past
|
과거
|
ptcp
|
participle
|
분사
|
-
|
ptl
|
particle
|
불변화사
|
purp
|
purposive
|
|
-
|
red
|
reduplication
|
중첩
|
rel
|
relative
|
관계사
|
-
|
rem
|
remote
|
|
-
|
rls
|
realis (en)
|
현실상
|
s
|
single argument of canonical intransitive verb
|
표준적인 자동사의 단일논항
|
sbj
|
subject
|
주어
|
sbjv
|
subjunctive
|
가정법
|
sg
|
singular
|
단수
|
예문은 모두 Leipzig Glossing Rules을 따른 것으로, 번호는 #주요 규칙의 각 조항에 대응한다. 선두에 *가 붙은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서식임을 나타낸다.
(1) |
|
인도네시아어 |
|
|
|
|
|
Mereka |
di |
Jakarta |
sekarang |
|
|
|
|
|
|
|
|
|
|
|
|
|
|
|
|
| |
그들 |
에 |
자카르타 |
지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들은 지금 자카르타에 있다
|
(2) |
|
레즈기어 |
|
|
|
|
|
Gila |
abur-u-n |
ferma |
hamišaluǧ |
güǧüna |
amuq’-da-č |
|
|
|
|
|
|
|
|
|
|
|
|
|
|
| |
지금 |
그들-obl-gen |
밭 |
영원히 |
나중에 |
남다-fut-ne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제 그들의 밭은 영원히 나중에 남지 않는다
|
(2)' |
|
그린란드어 |
|
|
|
|
|
palasi=lu |
niuirtur=lu |
|
|
|
|
|
|
|
|
|
|
|
|
|
|
|
|
|
|
| |
사제=와 |
상점주=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제도 상점주도
|
(2-1) |
|
라이어 |
|
|
|
|
|
a-nii -láay |
|
|
|
|
|
|
|
|
|
|
|
|
|
|
|
|
|
|
|
| |
3sg-웃다-fu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녀)는 웃는다
|
(3) |
|
러시아어 |
|
|
|
|
|
Мы |
с |
Марко |
поеха-л-и |
автобус-ом |
в |
Переделкино |
|
|
|
|
|
|
|
|
|
|
|
|
|
| |
1pl |
com |
마르코 |
가다-pst-pl |
버스-ins |
all |
페레젤키노 |
|
|
|
|
|
|
|
|
|
|
|
|
|
| |
우리 |
와 |
마르코 |
가다-pst-pl |
버스-로 |
에 |
페레젤키노 |
|
|
|
|
|
|
|
|
|
|
|
|
|
| | 마르코와 함께 나는 버스로 페레젤키노(영어판)에 갔다.
|
(4-1) |
|
튀르키예어 |
|
|
|
|
|
çık-mak |
|
|
|
|
|
|
|
|
|
|
|
|
|
|
|
|
|
|
|
| |
come.out-inf |
|
|
|
|
|
|
|
|
|
|
|
|
|
|
|
|
|
|
|
| |
come_out-inf |
|
|
|
|
|
|
|
|
|
|
|
|
|
|
|
|
|
|
|
| | to come out
|
(4-2) |
|
라틴어 |
|
|
|
|
|
insul-arum |
|
|
|
|
|
|
|
|
|
|
|
|
|
|
|
|
|
|
|
| |
섬-gen.p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섬들의
|
(4-3) |
|
히타이트어 |
|
|
|
|
|
n=an |
apedani |
mehuni |
essandu |
|
|
|
|
|
|
|
|
|
|
|
|
|
|
|
|
| |
conn=him |
that.dat.sg |
time.dat.sg |
eat.they.shall |
|
|
|
|
|
|
|
|
|
|
|
|
|
|
|
|
| |
conn=him |
that:dat;sg |
time:dat;sg |
eat:they:shall |
|
|
|
|
|
|
|
|
|
|
|
|
|
|
|
|
| | they shall celebrate him on that date.
|
(4-4) |
|
아일랜드어 |
|
|
|
|
|
bhris-is |
|
|
|
|
|
|
|
|
|
|
|
|
|
|
|
|
|
|
|
| |
pst.부수다-2sg |
|
|
|
|
|
|
|
|
|
|
|
|
|
|
|
|
|
|
|
| |
pst\부수다-2sg |
|
|
|
|
|
|
|
|
|
|
|
|
|
|
|
|
|
|
|
| | 네가 부수었다
|
(4-5) |
|
자민중어 |
|
|
|
|
|
nanggayan |
guny-bi-yarluga? |
|
|
|
|
|
|
|
|
|
|
|
|
|
|
|
|
|
|
| |
누구 |
2du.a.3sg.p-fut-찌르다 |
|
|
|
|
|
|
|
|
|
|
|
|
|
|
|
|
|
|
| |
누구 |
2du>3sg-fut-찌르다 |
|
|
|
|
|
|
|
|
|
|
|
|
|
|
|
|
|
|
| | 너희 두 명은 누구를 창으로 찌르고 싶은가
|
(5) |
|
이탈리아어 |
|
|
|
|
|
and-iamo |
|
|
|
|
|
|
|
|
|
|
|
|
|
|
|
|
|
|
|
| |
가다-prs.1p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우리는 간다
|
(6) |
|
라틴어 |
|
|
|
|
|
puer |
|
|
|
|
|
|
|
|
|
|
|
|
|
|
|
|
|
|
|
| |
소년[nom.s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년
|
(7) |
|
훈지브어 |
|
|
|
|
|
oz#-di-g |
|
|
|
|
|
|
|
|
|
|
|
|
|
|
|
|
|
|
|
| |
boy-obl-a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년 때문에 나무가 굽었다.
|
(8) |
|
독일어 |
|
|
|
|
|
ge-seh-en |
|
|
|
|
|
|
|
|
|
|
|
|
|
|
|
|
|
|
|
| |
ptcp-보다-ptc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여지다
|
(9) |
|
타갈로그어 |
|
|
|
|
|
b<um>ili |
|
|
|
|
|
|
|
|
|
|
|
|
|
|
|
|
|
|
|
| |
<actfoc>사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산다
|
- Glossing Rules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Department of Linguistics). 2017년 4월 3일 열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