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평원어족 | |
---|---|
지리적 분포 | 뉴기니섬 호수평원 |
계통적 분류 | 세계의 주요 어족 중 하나 |
글로톨로그 | lake1255[1] |
호수평원어족(영어: Lakes Plain languages)는 뉴기니섬의 인도네시아 영토에 속한 호수평원 지역의 언어들이 속한 어족이다. 풍부한 성조 체계와 비음의 부재로 유명하다.
스티븐 부름은 자신의 트랜스뉴기니어족 분류에서 호수평원어족을 토르어족과 하나로 묶었다. Clouse (1997)는 토르어족과의 연결을 부정하고 호수평원어족을 겔빈크만어족과 묶었다. 맬컴 로스는 호수평원어족을 독립된 어족으로 분류하며 티모시 어셔도 여기에 동의한다.
윌리엄 A. 폴리는 스코어족과 호수평원어족이 겉보기에 음운적으로 유사하고 ‘이’ 따위의 기초 어휘가 비슷함을 근거로 두 집단이 먼 친척 관계일지도 모른다고 추측한다. 그러한 증거 부족 때문에 두 어족 사이의 관계가 정식으로 주장된 적은 없다.[2] 또한 폴리에 따르면 몇 가지 음운적·어휘적 유사성에 비추어 볼 때 현재 미분류 상태인 케우어도 호수평원어족과 먼 친척 관계일 수 있다고 한다.
겔빈크만어족, 트랜스뉴기니어족, 남부건빌어족과 마찬가지로 호수평원어족은 능격-절대격 격표시 체계를 사용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파푸아뉴기니 북부의 언어들은 대체로 주격-대격 체계이다.[3]
Clouse (1997, p. 155)는 호수평원어족의 내부 구조를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4]
Clouse는 겔빈크만어족이 호수평원어족과 가장 가까운 관계라고 본다.[4]
어셔는 호수평원어족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5]
호수평원어족 |
| ||||||||||||||||||||||||||||||||||||||||||
위의 그림에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카이어(Kaiy), 퀘리사어, 도우타이어, 와리타이어도 중부 호수평원어파일 것으로 생각된다. 오보쿠이타이어와 비리타이어도 마찬가지이다. Clouse는 두 언어를 각각 파파세나어와 에리타이어와 가장 가까운 것으로 분류하며, 이들 언어와 방언연속체를 이룰 가능성이 있다.
사포니어, 케후어, 타우세어의 포함 여부에 관해서는 다소 의문이 있다.
로스는 타리쿠조어 대명사를 다음과 같이 재구한다.
나 | *a/*i | 우리 | *a/*ai |
너 | *de | 너희 | *da |
그 | *au | 그들 | ? |
이에 대응하는 1인칭과 2인칭 단수 대명사는 동부호수평원조어의 *a, *do, 아웨라어의 yai, nai(후자는 *dai에서 왔다), 라사와어의 e-, de-이다. 사포니어는 호수평원어족과 대명사를 전혀 공유하지 않으며, 1인칭 mamire와 2인칭 단수 ba는 동봄베라이조어 1인칭 복수 *meme "와 2인칭 단수 *ba를 연상시킨다. 그러나 사포니어는 기본 어휘의 절반을 라사와어와 공유하며 로스는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나 일단은 호수평원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남겨 두었다. 타우세어도 이전에는 호수평원어족의 타리쿠어군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으나 로스는 대명사의 유사성에 기반해 동봄베라이어족으로 옮겼다.
다음은 Foley (2018)에서 가져온 호수평원어족 언어들의 대명사 목록이다.[2]
아웨라어 | 키리키리어 | 이아우어 | 두블레어 | 오보쿠이타이어 | 다브라어 | |
---|---|---|---|---|---|---|
1s | yai | a | a | æ | i | aː |
2s | dai | de | di | do | di | daː |
1p | e | e | e | a | ai | iː |
호수평원어족 언어들은 아주 작은 음소 체계를 가지고 있다.
Clouse and Clouse (1993)는 많은 호수평원어족 언어들이 여러 특이한 음운론적 특징을 공유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일반적으로 파푸아 제어는 적어도 두 개의 비음 음소를 가지고 있는데, 호수평원어족은 그렇지 않다. 대부분의 호수평원어족 언어에 음성적으로 비음이 존재하긴 하지만, 대응하는 유성 파열음과 대립하지 않는다. 도우타이어, 시카리타이어, 오보쿠이타이어, 포아우어에는 음성적 비음조차 없다. 또한, 호수평원어족 언어에는 유음 음소가 없다. Clouse (1997)는 호수평원조어의 자음 목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는데, 단 다섯 개의 파열음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양순음 | 치경음 | 연구개음 | |
---|---|---|---|
무성 파열음 | *p | *t | *k |
무성 파열음 | *b | *d |
이 때문에 호수평원어족 언어들의 음소들은 기능적 부담이 크다. 즉 발음이 거의 비슷한 단어들이 많다.
많은 언어들이 혀의 위치가 극도로 높아 마찰음화된 모음 소리를 지니고 있다. 도우타이어와 키리키리어에서는 이러한 모음이 /i/, /u/와 별개의 음소이다. 마찰음화된 모음은 뒤따르는 자음의 탈락으로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Clouse (1997)는 호수평원조어가 일본어나 스페인어와 같은 5모음 체계를 가졌다고 재구한다.
전설 | 후설 | |
---|---|---|
고모음 | *i | *u |
중모음 | *e | *o |
저모음 | *a |
호수평원어족 언어는 모두 성조를 지녔다. (성조를 지닌 다른 파푸아 제어로는 스코어족과 카이난투고로어파 언어 등이 있다.) Clouse and Clouse (1993)는 호수평원조어에 고조(H)와 저조(L)의 두 가지 성조가 있었다고 재구한다.[2]
두블레어와 시카리타이어에는 고조와 저조의 두 가지 성조만 있지만 다른 언어들에는 그보다 많은 성조가 있다. 서부 타리쿠어군 언어들에는 모두 상승조와 하강조도 있다.[4]
이아우어는 호수평원어족에서 가장 복잡한 성조를 지닌 언어이다. 다른 호수평원어족 언어들이 2음절이나 3음절 단어를 많이 가진 데 비해, 이아우어 단어는 대부분 1음절이다. 이아우어는 8개의 음운론적 성조를 지녔는데, Bateman의 표기법에 따르면 고조(44), 중조(33), 고상승조(45), 저상승조(23), 고저하강조(42), 고중하강조(43), 중저하강조(32), 하강상승조(423)처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숫자는 음높이를 나타내며 1이 가장 낮은 소리, 5가 가장 높은 소리를 나타낸다.)[2] 이아우어의 8가지 성조 중 4가지는 단모음에 나타나고, 나머지 4가지는 장모음에 나타나는데 후자는 다른 호수평원어족의 2음절 단어에 대응하는 경우가 많다.[4]
대부분의 동부 파푸아 제어와 달리, 호수평원어족 언어에는 성이나 굴절이 없다. 호수평원어족 사용 지역의 동북쪽에 있는 동겔빈크만어족 언어인 바우지어도 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즉 호수평원어족 언어들은 복잡한 형태론이 없는 분석어이다.
다음은 Foley (2018)에 실린 호수평원어족 언어들의 기초 어휘 비교표이다.[2]
뜻 | 라사와어 | 키리키리어 | 이아우어 | 두블레어 | 오보쿠이타이어 | 타워르타어 |
---|---|---|---|---|---|---|
‘새’ | beβo | du | dusi | fura | du | duː |
‘피’ | uːyo | klu | oe | sæire | saig | ai die |
‘뼈’ | weβi | kiʼ | iʼ | kæ-ri-a | -baig | butːu |
‘가슴’ | tu | tu | tui | do | toub | tow |
‘귀’ | u-ra | ke | e | ovei | -kwei | ebre |
‘먹다’ | ki-βaβo | sa | sa | dɪa | da- | beya |
‘알’ | uβa | dute | bi | ævisa | ako | ko |
‘눈’ | ɔra | kla | ɸæ | gari | -u | ruːg |
‘불’ | tayo | kwɛ | be | bo | kwɛ | do |
‘주다’ | paro | tu | baɛ | bou | behig | bei |
‘가다’ | uɣuβe | kia | i | da/dou | do- | dug |
‘땅’ | gi | ɸla | a | pɪa | hra | faː |
‘털’ | u-kha | ta-kruʼ | iʼ-su | tæri | hoig | teri |
‘듣다’ | puaβo | beika | bi-bae | bou/bæiɪ | kwɛri | atega |
‘다리’ | u-ru | ɸa | tai | fria | -hig | aigwa |
‘이(벌레)’ | piye | ɸli | i(bo) | pri | hri | fi(god) |
‘남자’ | duβu | te | te | oirɛ | ta | gutːi |
‘달’ | bariya | tɔ | baiʼdaki | vrisa | so | fere |
‘이름’ | uβa | kwa | ɔsu | oiɛ | asukwa | faya |
‘하나’ | kri-βi | suo-we | bisi-be | soɣo-ɛ | kore-kekaig | kwaka |
‘길’ | we | kwari | bɛ | ioɣoia | kuɛi | eigre |
‘보다’ | paβo | ɸua/ɸori | dɔɛ | fei/fou | badub | fǝkta |
‘돌’ | pa | ɸai | ɸeki | pæxi | kwig | gwid |
‘해’ | kuri | tɔ | baiʼ | væir | so | gwadi |
‘혀’ | isɔːkɔ | abla | ae | zæri | -rija | iri |
‘이빨’ | ɔ | uri | biʼ | æbidi | -brig | adːi |
‘나무’ | ukui | du | u | ura | kub | gru |
‘둘’ | wɔri | ɔro-we | bɔ | tɛʔɛ | tio | tai |
‘물’ | de(ye) | da | e | dæ/dɛ | -rig | dye |
‘여자’ | kuru | ko | si | oruæi | tub | ro |
Clouse (1997)는 호수평원조어와 하위 계통군의 조어를 다음과 같이 재구한다.[4]
뜻 | 호수평원조어 | 극서호수평원조어 | 타리쿠조어 | 서부타리쿠조어 | 중부타리쿠조어 | 동부타리쿠조어 |
---|---|---|---|---|---|---|
목 | *kukro | *roko | *kokro | *kokrV | *kro | |
입 | *kukadi/u | *koru | *kuari | *kuari | *ba | *kua |
이빨 | *bri | *biri | *bri | *bri | *biri | *bri |
눈 | *kudatiCV | *ura | *kurati | *kurati | *kuratiC | |
코 | *boru | *boru | *boru | |||
털 | *kru/i | *kru/i | *kru | *kru/i | ||
손톱 | *pV | *bV | *pV | *ɸV | *ɸo | *pe |
피부 | *ɸidi | *bi | *ɸiri | *ɸire | *iri | *bari |
고기 | *tV | *tV | *tV | *tV | *ta | *tV |
뼈 | *be | *kai | *kai | *i | *ai | |
가슴 | *touCV | *tou | *touC | *tou^ | *touC | *touC |
배 | *kuria | *wia | *kuria | *kuri | *kuia | |
다리 | *tu | *Ca | *Ca | *ta | *a | |
발 | *to | *to | *to | |||
물 | *deida | *deire | *dida | *dida | *ida | *wadi |
불 | *kudaide | *tairo | *kure | *kue | *be | *kure |
형용사 접미사 | *-we/-die | *-we/-de | *-we/-die | *-we | *-be | *-die |
돌 | *kuipade | *pare | *kuiɸae | *kuiɸae | *kuiɸa | *kuip |
하나 | *kri | *keiki | *keiki | |||
셋 | *didi | *dri | *Cidi | *Cido | *tidi | |
땅 | *pra/i | *pri | *pra | *ɸra | *pra | |
길 | *kuadi | *arV | *kuari | *kuari | *ba | *kuai |
넓은 | *wara | |||||
비 | *kurire | *kuie | *kuri | *kuri | *bi | |
무딘 | *baCu | *paupe | *baCu | *baCu | *ba | |
해 | *tio | *tio | *tio | *so | *so | |
달 | *bari | |||||
바나나 | *kriCV | *kiri | *kriC | *kri^ | *kiri | *kriC |
나무 | *kuCV | *ku | *kuC | *u | *u | *kuC |
가르다 | *pekeka | |||||
가시 | *kude | *pore | *kure | *kure | *be | *kure |
씨 | *weto | *kaba | *ɸe | *aCi | ||
검은 | *kVCa | *kuara | *kVC | *kaCa | *kiC | |
새 | *du | *du | *du | *du | *du | |
날개 | *auCo | *uko | *auCu | *auro | *apu | *akau |
화식조 | *diadi | *kiri | *diari | *diari | *diari | |
파리 | *kubadi | *poiti | *kubari | *kuari | *bari | *kuari |
모기 | *tide | *tre | *tire | *tire | *tire | *tire |
개 | *tabi | *kaCo | *tabi | *tiabi | *dabi | *dabi |
꼬리 | *tiCa | *tiCa | *tiCa | *tia | *tiC | |
물고기 | *tie | *te | *tie | *tie | *te | |
거머리 | *kibV | *kiba | *kibi | *ki | *ki | *kibi |
이(벌레) | *pri | *piri | *pri | *ɸri | *pri | |
긴 | *pobi | *kure | *kure | *be | *kuri | |
집 | *kuadV | *aru | *kuarV | *kua | *urV | *kuari |
가까운 | *paipai | *paia | *aiɸai | *aiɸai | ||
사람 | *tau | *du | *tai | *te | *te | *tai |
나쁜 | *kaibe | *ɸVra | *ɸe | *ɸura | ||
아이 | *tau-bri | *tu-ri | *tau-bri | *tau-bri | *tau- | *tau-bi |
2인칭 단수 | *de | *de | *de | *de | *di | *de |
1인칭 복수 | *ai | *e | *ai | *ai | *e | *ai |
3인칭 단수 | *kibV | *be | *o | *de | ||
가다/걷다 | *kidia | *dao | *kidia | *kidia | *dia | |
듣다-상태성 | *kuedi-kuda | *beri-kura | *kueri-kua | *beri-kua | *beri-wa | *kueri-kua |
찾다 | *paka | |||||
빨다 | *tau | *tu | *tau | *taua | *betu | |
토하다 | *kadudu | *aru | *karudu | *ku | *u | *krudu |
긁다 | *kiCi | *kibie | *kiri | *kiri | *iri | *bekiri |
앉다 | *ɸuɸu | *kua | *ɸuɸu | *ɸoko | *bau | *buhu |
서다 | *dia-dau | *tarau | *dia-da | *dia-da | ||
잡다 | *tiadado | *suarau | *araro | *araro | *da | *do |
불다 | *pudV | *purV | *purV | *ɸura | *ɸoi | *bu-ɸuru |
기침하다 | *takadV | *takari | *takurV | *takuro | *taurai | *takura |
땔나무 | *bodi | *bori | *bo | *bori | ||
똥 | *pade | *pare | *ɸa | *ɸa | *pare | |
오줌 | *tiCi | *tiCi | *ti^ | *tii | *tiCi | |
음경 | *tiuCV | *tiuC | *tiu^ | *tiu | *tuC | |
음낭 | *kudiCV | *kuriC | *kui^ | *kuiC | ||
턱 | *kuaukadi | *kuaukari | *kuaukai | *baukai | *kuaukari | |
개미 | *keCV | *keC | *ke | *e | *kiC | |
화살 | *poka | *poka | *ɸoka | *ɸoka | *pok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