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칠나무 | |
---|---|
전남 순천시 평사리(2017-08-18)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국화군 |
목: | 미나리목 |
과: | 두릅나무과 |
아과: | 두릅나무아과 |
속: | 황칠나무속 |
종: | 황칠나무 |
학명 | |
Dendropanax morbiferus | |
H.Lev. 1910 |
황칠나무(黃漆--, Dendropanax morbiferus, 영어: Korean dendropanax)는 두릅나무과에 딸린, 사철 내내 잎이 푸른 큰키나무이다. 한국의 남부 해변과 섬의 산록 수림 속에 살며 높이 15m이다.[1][2] 껍질에 상처가 나면 황색 액이 나온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윤이 나지 않는다. 15미터까지 자란다.[2]
잎은 어긋나며 3-5갈래이나, 노목(老木)에서는 잎이 난형, 타원형,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20cm이다. 양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가 있다. 잎자루 표면이 편평하고 홈이 있다.[2]
꽃은 양성화,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리고, 화축의 길이 3-5cm, 꿀샘이 있으며, 꽃자루는 길이 5-10mm이다. 꽃받침은 종형, 끝이 5갈래, 꽃잎 5장, 수술 5개, 자방 5실, 암술머리 5갈래이다.
열매는 핵과로 타원형, 검은색으로 익는다. 9월 말에서 11월에 익으며, 길이 7~10밀리미터쯤 되고, 암술대가 남아있다.[2]
수액은 가구의 칠용으로 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뿌리와 가지를 풍하리(楓荷梨)[3] 또는 풍하이(楓荷梨)라 부르며 약으로 쓴다. 성미는 달고 따뜻하다. 풍습(風濕)을 제거하고 혈맥(血脈)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이 있다.[4]
황칠나무는 '만병통치 나무'로 알려져 있으며, 사포닌, 클로로겐산, 퀘르세틴, 루틴 등의 성분이 풍부한 고유 특산종이다. 이 나무의 주요 효능은 간 기능 개선과 면역 활성 증진으로, 연구에 따르면 황칠나무 잎 추출물이 간세포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동제약은 이를 주원료로 한 '광동 녹황당 황칠'을 출시했으며, 제주 자연에서 얻은 무농약 황칠과 용암해수를 사용해 만들어졌다. 광동 녹황당 황칠[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