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36b
R136b는 좌하단의 밝은 별이다. 출처: ESO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ICRS) 분점 J2000.0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적경
|
05h 38m 42.74s[1]
|
적위
|
−69° 06′ 03.78″[1]
|
겉보기등급 (V)
|
13.24[1]
|
특성
|
스펙트럼 종류
|
O4If[2]
|
B−V 색지수
|
−0.18[1]
|
위치천문학 |
---|
|
---|
거리 | 163,000 ly (49,970[3] pc) |
절대등급 (MV) | −7.75[2] |
|
상세[2] |
---|
|
---|
질량 | 117+91 −51 M☉ |
반지름 | 40.0 R☉ |
광도 | 2,188,000 L☉ |
표면중력 (log g) | 3.30±0.25 cgs |
유효온도 | 35,000±2,500 K |
투영 자전 속도 (v sin i) | 85 km/s |
나이 | 1.7±0.2 Myr |
|
천체 명칭 |
---|
BAT99 111, RMC 136b, [HSH95] 9, [WO84] 4, NGC 2070 MH 637, [CHH92] 26, [P93] 985. |
데이터베이스 자료 |
---|
SIMBAD | 데이터 |
R136b는 대마젤란 은하의 R136 성단에 있는 청색초거성이다. 이 별은 알려진 가장 무겁고 광도가 높은 별 중 하나로 이 별은 타란툴라 성운의 NGC 2070 중심에 있는 조밀한 R136 산개성단에서 발견된다.
R136b는 강한 방출선을 지닌 볼프-레이에별 분광형을 가지고 있다.[4] 비록 표면에 강화된 헬륨과 질소를 나타내지만 여전히 매우 어린 별이며 CNO 순환을 통해 중심핵에서 수소를 태우고 있는 주계열성이다.[5] 다른 연구에서는 스펙트럼을 이온화된 질소와 헬륨의 방출선을 지닌 뜨거운 초거성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여전히 이 별을 중심핵 수소 연소 단계의 젊은 별, 즉 강한 대류와 항성풍에 의해 발생하는 특이한 스펙트럼으로 간주하고 있다.[2]
- ↑ 가 나 다 라 Doran, E. I.; Crowther, P. A.; De Koter, A.; Evans, C. J.; McEvoy, C.; Walborn, N. R.; Bastian, N.; Bestenlehner, J. M.; Gräfener, G.; Herrero, A.; Köhler, K.; Maíz Apellániz, J.; Najarro, F.; Puls, J.; Sana, H.; Schneider, F. R. N.; Taylor, W. D.; Van Loon, J. Th.; Vink, J. S. (2013). “The VLT-FLAMES Tarantula Survey. XI. A census of the hot luminous stars and their feedback in 30 Doradus”. 《Astronomy & Astrophysics》 558: A134. arXiv:1308.3412. Bibcode:2013A&A...558A.134D. doi:10.1051/0004-6361/201321824. S2CID 118510909.
- ↑ 가 나 다 라 Bestenlehner, Joachim M.; Crowther, Paul A.; Caballero-Nieves, Saida M.; Schneider, Fabian R. N.; Simón-Díaz, Sergio; Brands, Sarah A.; De Koter, Alex; Gräfener, Götz; Herrero, Artemio; Langer, Norbert; Lennon, Daniel J.; Maíz Apellániz, Jesus; Puls, Joachim; Vink, Jorick S. (2020). “The R136 star cluster dissected with Hubble Space Telescope/STIS. II. Physical properties of the most massive stars in R136”.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99 (2): 1918. arXiv:2009.05136. Bibcode:2020MNRAS.499.1918B. doi:10.1093/mnras/staa2801.
- ↑ Pietrzyński, G; D. Graczyk; W. Gieren; I. B. Thompson; B. Pilecki; A. Udalski; I. Soszyński; 외. (2013년 3월 7일). “An eclipsing-binary distance to the Large Magellanic Cloud accurate to two per cent”. 《Nature》 495 (7439): 76–79. arXiv:1303.2063. Bibcode:2013Natur.495...76P. doi:10.1038/nature11878. PMID 23467166. S2CID 4417699.
- ↑ Hainich, R.; Rühling, U.; Todt, H.; Oskinova, L. M.; Liermann, A.; Gräfener, G.; Foellmi, C.; Schnurr, O.; Hamann, W. -R. (2014). “The Wolf–Rayet star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Astronomy & Astrophysics》 565: A27. arXiv:1401.5474. Bibcode:2014A&A...565A..27H. doi:10.1051/0004-6361/201322696. S2CID 55123954.
- ↑ Crowther, Paul A.; Schnurr, Olivier; Hirschi, Raphael; Yusof, Norhasliza; Parker, Richard J.; Goodwin, Simon P.; Kassim, Hasan Abu (2010). “The R136 star cluster hosts several stars whose individual masses greatly exceed the accepted 150Msolar stellar mass limi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8 (2): 731. arXiv:1007.3284. Bibcode:2010MNRAS.408..731C. doi:10.1111/j.1365-2966.2010.17167.x. S2CID 5300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