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름 | |
---|---|
IUPAC 이름
(3S,4R,5R)-1,4,5,6-tetrahydroxy-3-[(2R,3R,4S,5S,6R)-3,4,5-trihydroxy-6-(hydroxymethyl)oxan-2-yl]oxyhexan-2-one
| |
별칭
α-d-glucopyranosyl-(1→3)-α-d-fructopyranos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8.108 |
MeSH | turanose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12H22O11 | |
몰 질량 | 342.30 g/mol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투라노스(영어: turanose)는 환원성 이당류이다. D-투라노스는 자연에서 생성된다. 투라노스의 계통명은 α-D-글루코피라노실-(1→3)-α-D-프럭토푸라노스이다. 투라노스는 수크로스의 유사체로 관다발식물에 의해 대사되지 않지만, 세포 내 탄수화물 신호전달을 위한 수크로스 운반체의 작용을 통해 얻어진다. D-투라노스는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것 외에도 수많은 세균과 균류를 비롯한 많은 생물체들이 탄소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2][3][4][5][6]